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복령음 茯笭飮
出 典 外臺秘要
分 類 祛痰劑 -燥濕化痰
造 成 복령 5g, 인삼, 진피 각 3g, 백출 4g, 지실 1.5g, 생강 1g
用 法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效 能 理氣化痰, 和胃降逆, 健脾益氣
適 應 症 ◎ 상복부가 비( )하여 괴롭다,
◎ 팽만감이 있다,
◎ 위부에 진수음이 있다,
◎ 특히 물같은 것을 토출한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 식욕이 없다,
◎ 피로하기 쉽다,
◎ 원기가 없다,
◎ 식사를 하면 배가 당긴다 등의 비기허의 증후에. 상복부 팽만감, 위부진수음, 요량감소, 탄산, 구토 등 담음의 증후를 나타낼 때.
解 說 본방은 祛痰劑로 분류되며 위장이 허약하여 진액이 부족한 사람이 위내에 정수가 생겨 일어난 위부팽만감 . 呑酸(吐酸液, 위산과다, 트림, 보통 생목이라 부름) . 조잡(가슴앓이) 등의 溜飮症에 대한 대표 처방이다.
[治心胸中 有停痰宿水, 自吐出水後, 心胸間虛, 氣滿不能食, 消痰氣, 令能食]이라고 《金궤》에서 본방에 대한 설명이 잘 요약되어 있다. 이 문장의 뜻은 흉부나 심하에 물이 가득 고여있어서, 이것이 입으로 토출한다는 것인데, 물이 나온 후에는 가스가 차 있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방을 복용하면 수분가 가스가 제거되어 음식을 잘 먹게 된다는 뜻이다. 즉 본방은 심흉중에 정수가 있어 허기충만하여 아침 먹은 것이 밤이 되어도 소화가 안되고 가슴이 차면서 구토를 하고 식사를 할 수 없을 때 痰氣를 잘 해소하는 처방이다.
人蔘湯에서 甘草를 빼고 陳皮 . 只實 . 生姜을 가한 것이 본방인데, 人蔘湯은 脾胃虛寒水를 가온하고 利水를 주로 하지만, 본방은 이수제 외에 이기제인 只實 . 陳皮를 가하여 심흉중의 정수와 허기 충만을 치료하도록 되어 있다. 利水의 茯笭 . 白朮과 理氣의 只實 . 陳皮에 보기의 人蔘에 生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응하는 병태는 [心胸中에 停痰이 宿水하여 스스로 水를 吐出한 다음.....]으로 표현되는 胃內의 溜飮(痰飮)이다. 위장관내에 수분흡수배설장애로 수분의 저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문경련에 의한 기능성의 통과장해가 있어 수분정체가 과하면 복부팽만감 . 비塞感이 생겨 식사를 할 수가 없게 된다. 이렇게 답답한 상태에서 어쩌다 트림을 하면 胃의 수축과 함께 트림이 나오듯이 위내용물을 토해내며 오심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만약 오심이 있을 때는 半夏劑를 써야 한다. 이수의 茯笭 . 白朮은 흡수를 강화함으로써 溜飮을 경감하고 이기의 只實은 기의 결실을 파하여 消積한다. 白朮과 합하여 식적 . 위부팽만을 없애고, 芍藥과는 只實芍藥散이 되어 胸腹비滿 . 근육긴장을 완해한다. 또 유문경련을 완해, 逆 연동을 정상화하여 위내용물의 통과를순조롭게 한다. 국내에서는 탱자의 미숙과실을 쓰고 있으나,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嘔氣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쓰지 않고 조생감귤의 미숙과를 쓴다. 只實과 只角이 동일물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옛날부터 논의되어 왔지만 현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두 약미가 동일하게 취급되고 있다(요즘에는 미숙과실을 따서 말린 것이 只實, 성숙과실을 따서 말린것이 只角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 열매가 처음에 생긴대로 크지도 작아지지도 않고 그대로 매달려 있는 것이 自失이라 써있는 고서책도 있다). 그러나 "能毒"에는 6월에 채취한 것을 只實, 10월에 채취한 것을 只角이라 하여 구별하고 只實의 작용이 강렬하므로 과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 "本草備要"에는 只實은 작고 작용이 강렬하며 只角은 크고 작용력이 완만한 것으로 大小承氣湯에는 只實을 사용한다는 해설문이 실려있다.只實의 약능에 대해서는 "本草備要"에 [그 공은 능히 氣를 破한다. 氣가 순행하면 곧 行痰하여 천식이 그치고 비脹이 소산하며 痛刺가 해소되고 後重이 제거된다] [只實은 흉격을 淸利하고 只角은 腸胃를 寬解한다]라는 조문이 있는데 요약하면 瀉下, 破氣, 行痰이 주요한 약능이라고 볼 수 있다. 只實의 약리실험에 있어서는 소화관의 운동억제, 강심, 혈압상승, 혈관수축등 모두가 교감신경을 통해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최근 只實로부터 현대의학에서 교감신경 작동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네피린이 단리된 것은 이 약리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밖에 항알레르기 작용과 항균작용이 인정되어 있다.
辛苦溫의 陳皮는 기체 . 氣逆을 순기시키고 조습작용이 있다. 특히 陳皮는 生姜과 같이 연동을 촉진하여 只實의 작용을 돕는다. 只實 . 陳皮 . 生姜은 유문경련을 완하하고 역연동을 정상화시켜 위내용물이나 가스통과를 촉진한다. 감고온의 人蔘은 대보원기 . 生津 . 안신하는 약이나 여기에서는 비塞感을 없애기 위해 배합되었다. 人蔘은 소량을 쓸 때는 혈을 보하고, 중량은 脾를 보하며, 대량을 쓰면 心下비를 풀어 준다고한다.
본방은 구성 약물로 보아 본래의 목적 이외에 脾氣虛의 痰飮에도 쓰인다. 또 異功散(四君子湯加陳皮)의 炙甘草를 빼고 只實을 가한 것에 해당한다. 보기건비의 人蔘 . 白朮 . 茯笭으로 소화흡수기능을 높이고 白朮 . 茯笭으로 溜飮을 제거한다. 陳皮 . 生姜 . 只實로 연동을 강화하여 아토니 증상을 개선한다. 다만 只實보다는 완화작용이 있는 只角을 쓰는 것이 더 좋다.
착각하면 안될 것은 본방이 적응하는 胃의 溜飮은 [停飮宿水]라는 [實]로서 일종의 기능이상에 해당한다. 胃의 긴장도 충분하고 수축력도 있으나 통과가 좋지 않은 것이며 아토니나 脾虛는 아니다. 그러므로 비만하다든지 여윈 체격 . 영양상태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人蔘은 단지 비滿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합된다. [心胸間虛하여 氣滿하므로 食不能]이라 했듯이 식욕이 없는 것이 아니라 먹고 싶어도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六君子湯의 적응 대상이 아니므로 六君子湯을 쓰면 받아들이지 않는다. 의외로 모르고 있는 것은 약 1時間마다 복용하는 것인데 증상이 없어지면 복용을 중지한다. 또 오심은 없으나 吐하는 점은 五 散이 적응하는 [水逆]의 상태와 같다. 그러나 五笭散을 쓰게 되는 상태는 수분의 흡수장해로 위장관내에 수분이 고인 상태로서 吐出과 함께 설사도 하는데 유문의 통과장해는 없다.

- 橘皮枳實生薑湯에 인삼,백출,복령 (四君子湯去甘草)을 가한 방제.
- 위(胃)의 유음증(留飮證)에 대한 대표적인 방제
☞ 생강, 귤피, 지실 : 흉비(胸 ), 흉중기색(胸中氣塞), 단 기(短氣)에 효과.
☞ 복령 : 삼습(渗濕)
☞ 인삼, 백출 : 보비(補脾)
臨 床 - 오심, 구토 : 반하, 축사, 오수유, 정향
- 기허(氣虛)의 정도가 심하면 : 황기
- 냉(冷)이나 한(寒)이 심할 때 : 건강, 부자
參 考 본방은 理中湯의 변방으로 甘草가 빠지고 只實 . 陳皮가 들어 있어 평소 위장이 허한하고 얼굴이 노랗게 보이며 빈혈의 경향이 있는 사람으로서 토증이 있을 때 쓰면 좋다. 茯笭澤瀉湯과 비교해 보면 본방은 많은 양을 토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주로 새콤한 물을 코하는 것이다. 茯笭澤瀉湯은 반위에 쓰는 처방인데 비해서, 본방은 위내정수, 유음에 쓴다. 그러므로 茯笭飮은 복진할 때 심하에 물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많다.
안색이 창백하여 누렇게 보이고 토하는 것은 吳茱萸湯과 비슷하지만 吳茱萸湯에는 두통과 견통 . 반조가 있는데, 본방에는 이러한 증이 없다. 또 吳茱萸湯은 복통이 있거나 두통이 있을 때 심하가 팽만하면서 가슴으로 치받히는데, 본방은 치받히는 것이 없고 주로 동계와 조잡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