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속명탕 續命湯
出 典 金궤要略
分 類 治風劑 - 辛散祛風
造 成 마황, 계지, 당귀, 인삼, 행인 各 6g, 석고 30g, 건강 2g, 감초, 천궁 각 3g
用 法 물로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效 能 祛風扶正
適 應 症 ◎ 중풍비(中風 ), 몸을 혼자 가눌 수가 없다.
◎ 말을 못한다.
◎ 정신이 맑지 못하여 어디가 아픈 지를 모른다,
◎ 구급(拘急)으로 돌아눕지를 못한다, 해역, 상기, 면목부종 등
解 說 본방은 治風劑로 분류되며 뇌일혈 . 뇌연화증 등으로 반신불수나 언어장해 등 비교적 중풍초기에 쓰도록 구성된 처방이다.
즉, 뇌혈관장해에 대한 처방이라고 하나 명확치 않으므로 검토할 문제다. 본방은 大靑龍湯의 生姜을 乾姜으로 바꾸고 大棗는 빼는 대신 補氣의 人蔘, 補血活血의 當歸 . 川芎을 가하여 강장 . 자윤의 효과를 도모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본방은 혈허증이 있는 사람이 裏熱로 혈액고조 상태까지 되어 熱極生風으로 생긴 중풍이라 해석된다.
본방은 처방구성이 복잡하며 일명 大續命湯이라고도 한다. 본방 말고도 10여방이 본방을 가감하여 쓰여지고 있다. 본방의 방의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방의 원전을 보아야 한다. [治中風 (중풍마비) 身體不能自收(자기 혼자서는 몸을 움직이고 거닐 수가 없다) 口不能言, 冒昧(의식혼탁) 不知痛處, 或 拘急不能轉側 但 伏不得臥 咳逆上氣 面目浮腫]라고 했다.
즉 중풍으로 인사불성 . 반신불수가 되고 口眼歪斜로 말을 못하여 신체가 땅기고 신체통 . 咳喘 . 부종을 목표로 쓰라지는 지시이다. 처방내용을 분석하여 보면 본방은 麻黃湯(麻黃, 桂枝, 甘草 . 杏仁) . 麻杏甘石湯 . 大靑龍湯(麻黃, 桂枝, 甘草, 杏仁, 石膏, 生姜) . 越婢湯(麻黃, 石膏, 甘草, 生姜) . 人蔘湯(人蔘, 乾姜, 白朮, 甘草) . 四物湯 . 環魂湯(麻黃, 杏仁, 甘草) . 甘草乾姜湯 . 桂枝甘草湯 등 모두 9가지 처방의 방의가 들어 있다.
이것을 종합해 보면 본방은 表寒裏熱證(大靑龍湯, 麻杏甘石湯, 越婢湯, 麻黃湯)이 주를 이루고, 평소 신진대사항진 경향이 있는 사람이 열발산이 안되고 이에 울적됨에 따라 혈조상태와 혈액순환장해를 일으켜 혈허(四物湯) . 허번열과 위한냉(人蔘湯 . 甘草乾姜湯)이 되어 生風 즉 고혈압 . 뇌일혈 . 뇌연화 등 뇌혈관장애의 일련 증상이 결과적으로 야기된 것이다. 表寒裏熱과 혈허혈조는 裏熱의 울적을 가중시켜 熱極生風한다.
이러한 풍이 표한과 결합하여 중풍(뇌일혈)이 된 것이다. 이 풍이 경락에 맞으면 口眼 斜 . 반신불수가 되고, 혀에 맞으면 말을 못하게 되며, 사지에 맞으면 땅기고 오므러 들게 된다.
본방은 麻黃 . 石膏에 의한 利水효능을 이용하여 부종을 없애며, 乾姜 . 桂枝 . 川芎 . 當歸의 혈관확장작용에 의해 腦나 구간 . 사지의 순환을 개선한다. 또 人蔘 . 甘草로 전신의 기능이나 소화흡수를 높이고 當歸의 자양강장작용으로 영양을 돕고 麻黃이 가지는 중추신경 흥분작용으로 의식의 각성을 꾀하는 등의 효과에 의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밖에도 발한 . 해열 . 鎭咳 . 去痰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방은 혈허. 裏熱 . 표한성 풍수를 발한 . 해열 . 거담 . 진해 등으로 다스리는 효능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이상과 같은 작용을 염두에 두고 적당히 가감해서 써야 한다. 또 본방증은 표증이 있으므로 脈이 浮여야 유효하다.

- 정기(正氣)가 내허(內虛)한 경우에 風邪를 외중(外中)하여 한열(寒熱)이 엉킨 병증에 쓰는 약으로 거풍(祛風)하고 부정(扶正)하는 치법을 활용하고 있다.
◎ 마황, 계지 : 外風의 선산(宣散).
◎ 행인 : 선폐(宣肺)
◎ 석고, 건강 : 寒熱을 조절
◎ 인삼, 당귀, 천궁 : 보허(補虛)하여 부정(扶正)
◎ 감초 : 藥性을 調和.

- 이 방제는 풍사를 제거하고, 寒熱을 조절하며 正氣를 길러준다.

- 이 방제는 엎드려 있을 뿐 바로 눕지를 못하고 해역(咳逆)하고 상기(上 氣)하며 면목(面目)이 붓는 증상도 치료하는데, 이 작용은 마황, 계지 , 행인이 發汗시켜 울을 풀고 肺 氣를 선창(宣暢)함에 의한 것이다.
臨 床 - 작약을 가하면 거풍담(祛風痰)하고 부정기(扶正氣)하는 효능이 증대.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