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소풍산 消風散
出 典 外科正醫宗
分 類 治風劑 - 辛散祛風
造 成 형개, 방풍, 당귀, 생지황, 고삼, 창출, 선퇴, 호마인, 우방자, 지모, 석고( ) 各 3g, 감초 목통各 1.5g.
用 法 물에 달여 공복에 복용한다.
效 能 疏風養血 淸熱除濕
適 應 症 창양소양(瘡瘍瘙痒)이나 풍열은진(風熱隱疹)으로 편신(遍身)에 반점(斑點) 이 시은시현(時隱時現)함을 치료한다.
解 說 본방은 治風劑로 분류되며 염증성으로 가려움이 따르는 皮疹에 대한 대표처방이다.
즉 風濕邪氣가 내에 침입하여 내열을 발생하므로 이로 인해 염증성 피부병(血熱, 血燥)이 생겨 분비물과 소양증이 심한 風濕熱皮疹에 대한 처방이다. 거풍의 防風 . 荊芥. 蟬退 . 牛蒡子, 청열의 石膏 . 知母 . 苦蔘 . 生地黃, 화습의 蒼朮 . 木通, 養血潤燥의 當歸 . 胡麻仁 및 청열해독의 生甘草로 구성되어 있다.
본방의 원전을 보면 [風濕, 血脈侵淫, 致生瘡疥, 瘙痒不絶者를 治]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風濕熱皮疹]이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피부에 표재성의 병변이 일어나서 風證(가려움증과 유주성 내지 확대경향성)과 濕證(水疱(물집) 또는 삼출분비물이 많다), 熱證(발적, 열감 등 염증경향)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풍습열피진이 만성화하게 되면 이 병변이 皮燥경향(혈허)과 위축이나 건조성을 띤다. 따라서 본방에는 풍습열과 혈허에 대해 효과가 있는 약물이 고루 들어 있다. 방중의 防風 . 荊芥 . 牛蒡子 . 蟬退는 止痒작용을 가지며 해열에도 작용한다. 荊芥 . 防風은 피부의 혈행을 촉진하여 피부병변 조직의 파괴흡수를 강화하고 항균에도 작용한다(止痒消炎, 해열). 辛苦寒의 牛蒡子는 피부에서의 발산을 촉진하여 피진을 투발시키며 소염에도 작용한다. 鹹甘寒의 蟬退는 풍열을 청하여 瘡毒을 해독하고, 진정소염작용을 가진다. 石膏 . 知母 . 苦蔘 . 生地黃은 청열 . 소염작용을 가지므로 염증에 의한 피부의 발적 . 열감을 가라앉힌다. 辛甘寒의 石膏는 진정에 작용하며 함유하는 칼슘성분에 의해 혈관투과성을 감소시킨다. 苦寒의 知母도 진정작용을 가지며 항균에도 작용한다. 苦寒의 苦蔘은 청열제습작용으로 혈열을 청해하고 止痒 . 이뇨에 작용한다.
苦寒의 木通과 蒼朮은 血脈澁滯로 인한 풍습열을 通利하여 조직중의 수분을 이뇨작용으로 제거하므로 수포나 삼출물을 제거한다. 當歸 . 胡麻仁 . 生地黃은 자양강장작용으로 피부를 영양 . 자윤한다. 또 當歸 . 生地黃은 혈허 . 血燥 . 혈열을 개선한다.
當歸는 혈을 온보자윤하고 혈관확장작용으로 울혈을 개선하여 혈행을 촉진한다. 生地黃은 淸熱凉血하므로 변비 . 피부병 . 불면 . 출혈 등을 주치하는 반면 熟地黃은 자음보혈한다.
또 熟地黃은 온성으로 보혈자음강장작용이 있어서 빈혈 . 도한 . 피로를 주치한다. 그래서 허한자에는 熟地黃을 쓰고 열증에는 生地黃을 쓴다. 甘草는 소염 . 해독 등 보조적인 작용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방은 소염 . 삼출물의 감소 . 水疱소퇴 . 해열 . 止痒. 항균 등의 효과와 함께 자양강장작용을 얻게 된다. 본방은 외용해도 좋다.
- 풍습(風濕)과 풍열(風熱)의 침범 ⇒ 피부에 반진, 소양, 진물이 남 ⇒ 소풍(疏風)과 청열제습(淸熱除濕)을 위주로하여 치료하는 방제임.
- 풍독(風毒)과 습열(濕熱)이 血脈에 침입하여 주리( 理)사이를 막기 때 문에 생기는 병증, 즉 창양소양(瘡瘍瘙痒)이나 풍열은진(風熱隱疹)으로 편 신(遍身)에 반점(斑點)이 시은시현(時隱時現)함을 치료한다.
◎ 방풍, 형개, 우방자 , 선퇴 : 소풍투표(疏風透表)
◎ 창출 : 산풍제습(散風除濕)
◎ 고삼 : 청열조습(淸熱燥濕)
◎ 목통 : 삼리습열(渗利濕熱)
◎ 석고, 지모 : 청열사화(淸熱瀉火)
◎ 당귀, 생지황, 호마인 : 양혈(養血), 활혈(活血), 자음(滋陰), 윤조(潤燥)
◎ 생감초 : 청열해독(淸熱解毒), 조화 제약(調和諸
臨 床 - 염증 : 금은화, 연교
- 습열이 심하면 : 차전자, 지부자
參 考 ◎ 몹시 가렵고 皮疹의 확대경향이 있을 때에는 白鮮皮 . 薄荷 . 地膚子 . 浮萍 . 蒼耳子 .白疾藜 등을 가한다.
◎ 발적 . 열감이 강하면 生石膏를 증량하고 黃連 . 黃芩 . 梔子 . 龍膽 . 柴胡 등을 가한다. 화농경향이 있으면 金銀花 . 連翹 . 蒲公英등을 가한다.
◎ 渗出液이 많거나 水疱가 있을 때에는 車前子 . 滑石 . 茵蔯蒿 . 茯笭 . 澤瀉 . 防己 . 茵蔯 . 薏苡仁 등을 가하고 當歸 . 胡麻仁은 줄이거나 뺀다.
◎ 습윤경향이 보이지 않을 때는 蒼朮 . 木通을 뺀다.
◎ 건조경향이 있을 때는 當歸 . 胡麻仁을 증량하고 何首烏 . 熟地黃 등을 배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