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대건중탕 大建中湯
出 典 金궤要略
分 類 溫裏劑 -補氣健脾
造 成 촉초 1 ∼ 2g, 건강 3 ∼ 5g, 인삼 2 ∼ 3g, 교이 20g
用 法 먼저 촉초, 건강 , 인삼에 물을 가하여 달여 찌꺼기를 제거 하고 여기에 교이를 가하여 약한 불로 달인다. 이것을 두번에 나누어 따뜻 할 때 복용한다. 服藥후에 痛이 멈추면 죽을 먹어 胃 氣를 養하고 의복을 따뜻하게 입어 한사(寒邪)의 침입을 막아야 한다.
效 能 溫中散寒 緩急止痛
適 應 症 ◎ 평소에 원기가 없다
◎ 식욕이 없다
◎ 배가 부르다
◎ 손발과 배가 냉하다 등 의 증상에,
◎ 한냉자극에 의해 복부에 심한 산통(疝痛)이 발작한다
◎ 복벽이 이완되어 있어 장이 연동하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다
◎ 또는 속이 메스껍다
◎ 구역질이 난다 등의 증상이 있을 때.
解 說 본방은 溫裏劑로 분류되며, 소화기의 한냉자극과 장관의 이완확장으로 인한 복통, 연동불안에 대해서 근육을 긴장시키고, 냉을 제거하며, 진통작용을 나타내고, 소화흡수를 촉진시키며, 체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적응하는 병태는 복부가 전반적으로 연약무력하고 이완하여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자기 주먹을 배에 올려 놓았던 자리가 푹 들어가 그대로 오래갈 정도이고, 복피가 엷고 장연동이 꿈틀거리는 것으로 눈으로 볼 수가 있다.
이것을 《金궤要略》에서는 [心胸中大寒痛, 嘔不能飮食, 腹中寒上衝, 皮起出現, 有頭足上下痛而不可觸近, 大建中湯主之](심흉간에 강한 한사의 습격을 받아서 심하게 아프고 구토해서 식물을 취할 수가 없으며, 복중에서 한사와 정기가 싸워 상충하기 때문에, 복벽에 마치 머리와 발이 있는 것같은 덩어리가 생겨 상하로 돌아 다니고, 아파서 만질 수도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건중탕으로 치료한다) 라고 잘 설명하고 있다. 이런 연동항진발작시에 격심한 복통을 호소한다. 또 발작시에는 심하에서 상충하므로 토하기도 한다. 기본적인 상태는 寒冷자극 기타에 의한 疝痛發作이다. 대개 수족은 냉하고 맥은 침약하다.
본방은 裏虛寒을 溫中散寒하는 방이나, 임상적으로는 가끔 복부에 gas가 창만하여 心下急의 大柴胡湯證(열실증)으로 착각하여 오진을 하는 수가 있다. 본방은 일반적으로 한냉자극에 의한 복통 . 구토를 목표로 쓰지만 본방이나 人蔘湯의 구토에는 吐物에 산미가 없다. 만약 토물에 산미가 있을 때에는 安中散이나 吳茱萸湯이 된다.
본방의 主藥은 溫中散寒의 川椒 . 乾姜이고 강한 辛味와 자극성으로 소화관혈행과 분비를 촉진하여 평활근긴장과 연동과항진을 억제완화하여 腸寒을 따뜻하게 하므로 정체하고 있는 gas를 돌리게 하고 疝痛을누구려 뜨려 연동을 정상화시킨다.
본방은 임상적으로 장관외에 평활근경련에 의한 疝痛(요관결석등)에도 유효하므로 일반적인 평활근경련의 완해에도 응용된다. 방중 신열의 蜀椒는 川椒 . 山椒라고도 하며 대열약이다. 비위허한에 의한 복통 . 오심 . 구토 등 한증이 분명할 때에 만 사용한다. 이럴 때에도 온중산한과 보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안전하다. 즉 人蔘 . 膠餌 등을 배합하여 소화흡수의 촉진과 보익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
또 실험실적으로 회충의 살충능력도 있음이 밝혀져 있어 장내기생충에 의한 복통과 구토하는 증상에도 유효하다.
본방은 人蔘湯보다 산한진경진통작용은 강하고, 건비익기의 보익작용은 약하다. 이것은 이수 . 지사작용이 있는 白朮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 위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위벽충혈과 자극을 본방에서는 膠餌로 완화시킨다.
본방은 人蔘湯의 白朮대신 蜀椒를 가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감온의 膠飴는 현미등 전분질이 많은 곡물을 맥아로 발효당화한 엿이다. 乾姜 . 川椒의 자극성을 완화하면서 急迫증상을 완화하고 자윤영양작용으로 人蔘의 補脾益氣의 효능을 돕는다. 또 일반 온보제와 같이 사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膠飴 대신 흑설탕으로 대용한다. 흑설탕은 감온하여 산후허한에 의한 해수나 설사에 좋고, 백설탕은 복부가 팽만되기 쉽고 구토하는 수가 있기 때문에 약을 쓸 때는 흑설탕을 쓰는 것이 좋다. 人蔘은 膠飴에 협력하여 胃腸의 소화흡수를 촉진시키고 體力을 회복시킨다.

- 병변부위는 중초(中焦)이고, 病因은 한사(寒邪)이므로 중양(中陽)이 미약 하고 음한(陰寒)이 속에 왕성하여 생긴 증상. - 편한(偏寒)
◎ 건강, 촉초 : 주약. 온중산한 → 진통. 탁음(濁飮)을 내림 → 지구(止嘔)
◎ 인삼, 교이 : 보비완급(補脾緩 急)
◎ 촉초 : 구충 작용도 있음.
◎ 중초의 허한(虛寒)에 의한 복통이나 회충의 교란에 의한 복통에도 사용 함.
臨 床 .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