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마황부자세신탕 麻黃附子細辛湯
出 典 傷寒論
分 類 解表劑 - 表寒
造 成 마황 4g, 세신 3g, 부자 1g
用 法 물에 마황을 넣어 달이고 거품을 제거하고, 여기에 다른 약을 넣어 찌꺼기를 제거하고 1일 3회, 온복한다.
效 能 助陽解表
適 應 症 ◎ 몸에 열이 난다.
◎ 오한이 심하여 옷을 두텁게 껴입었고, 다시 이불을 덮어도 풀리지 않는다.
◎ 정신이 피로하고, 권태롭다 등 양허(陽虛)에 의한 외감증이 나타날 때.
解 說 본방은 解表劑로 분류되며 寒에 의한 少陰病이지만 표증(陽虛의 表寒)이 있어서 假熱이 나고 맥이 침하고 힘이 없는 것에 대한 기본처방이다. 즉 補陽辛溫解表劑로 체질이 허약하고 추위를 많이 타는 자의 콧물감기약으로 흔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체질의 사람은 신진대사의 기능이 침쇠하여 있는 상태인데 주로 허약한 자나 노인에게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우선 원기가 쇠약하며 피로, 권태감을 느끼고 항상 누워 있기를 좋아한다. 또 몸이 으슬으슬 춥고 손발이 냉하여 따뜻한 곳이나 따뜻한 음식을 좋아한다. 조금만 날씨가 춥거나 찬바람을 쐬면 감기에 걸리기 쉽다. 여름에도 콧물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흔히 있다. 감기에 걸리더라도 얼굴이 창백하고 열이 나지 않으며 땀도 나지 않는다. 식욕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되며 설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배를 만져보면 연약하여 힘이 없어 보인다. 맥박도 가늘고 미약하며 느린 편이다. 머리가 아프지만 이것은 냉두통으로서 모자나 수건을 쓰고 머리를 따뜻하게 하면 덜 아프다고 한다. 또 감기에 걸리면 코에서 찬바람이 나오는 것 같고 재채기를 연달아 하고 묽은 콧물이 쉴새없이 줄줄 흘러나오고 눈물도 나온다. 혀를 보면 붉지 않고 혈색이 없으며, 축축하게 젖어 있는것 같고 갈증을 느끼는 일은 거의 없다. 소변도 희박하고 많이 나온다. 한마디로 신체 기능이 침체하여 병사와 싸울 기력이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이상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체의 기능을 부흥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본방은 몸이 약하고 냉한 체질을 가진 사람의 감기약으로 적합한 것이다. 냉한 체질은 본래부터 몸이 허약한 자나 노인은 신진대사의 기능이 감퇴하여 체내의 열생산력이 미약한 때문이다. 이것을 양허라 한다. 양허의 체질을 가진 사람이 찬바람을 쐬거나 서늘한 곳에서 생활을 하면 신체의 표면이나 폐, 기관지 등이 더욱 냉하여지기 쉽다. 열이 있으면 수분이 건조하고, 냉하면 수분이 잘 마르지 않는다는 것은 일반의 상식이다. 그러므로 기도나 폐, 기관지 등이 한랭한 공기에 의하여 차가워지면 축축한 수분이 많이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추운 겨울에는 맑은 콧물이 흐르고 눈물이 나온다. 본방은 바로 이런 경우에 적합한 처방이다. 다시 말하면 본방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코에서 더운 바람이 생기게하여 콧물을 마르게 하는 것이다. 또 재채기를 자주 하거나, 물기침이 나오거나, 딸꾹질을 할 때도 효과를 얻는 수가 있다.
본방이 적응하는 상태는 몸이 허약한데다가 寒과 水를 함께 끼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몸을 따뜻하게하여 寒과 水를 몰아내고 신체의 기능을 부흥시켜 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방의 구성약물은 모두 그 성미가 맵고 따뜻하여 신체나 수족, 肺, 氣道를 따뜻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본방은 利水消腫 . 散寒의 약물만으로 구성되어 冷 . 寒氣 등 寒證과 더불어 발생하는 渗出을 억제한다. 表寒을 麻黃과 細辛이 신온해표하고,양허는 附子가 補陽祛寒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즉 辛溫解表의 麻黃 . 細辛과 溫裏去寒의 附子로 구성되어 있다. 방중의 麻黃 . 細辛은 발한해열에 작용한다. 辛苦溫의 麻黃은 기관지 평활근 경련을 완해하는 작용이있어 호흡곤란 . 해수를 멈춘다. 즉, 麻黃은 체표를 따뜻하게하여 발한 . 해열작용을 하는 동시에 폐기관지에 모여 있는 수분을 따뜻하게하여 이뇨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천식이나 기침을 진정시킨다. 신온의 細辛도 거풍 . 散寒行水작용이 있어서 痰飮性 咳逆을 治하며 麻黃을 돕는다. 細辛에는 항 allergy 내지 항히스타민 작용이 있어서 수독에 의한 거담진해외에 진통작용으로 麻黃을 보조한다. 단, 細辛은 신온해표약이나 단독으로 사용하면 발한해열작용이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細辛 + 乾姜 = 祛痰祛寒,
細辛 + 五味子 = 祛寒祛痺鎭痛,
細辛 + 白芷 = 鼻塞齒痛頭痛,
細辛 + 石膏 = 胃熱性齒痛,
細辛 + 黃連 = 口內炎,
細辛 + 川芎 = 頭痛….. 이런식으로 다양하게 변화한다. 또 細辛의 약능은“古方藥議”에 {鎭咳, 溫中, 下氣, 去痰하고 水道를 利하며 胸中을 淸利하고 血行을 순조롭게 한다}라고 해설되어 있듯이 辛溫한 약성으로 발산작용에 의해 風寒濕의 邪를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胸中의 수독을 退逐하고 咳痰을 가라앉히며 頭部에 유체하는 邪氣를 발산하여 頭痛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다.
細辛이 작용하는 頭痛은 냉두통으로서 모자나 수건을 쓰고 머리를 따뜻하게 하면 덜 아프다고 한다. 이것은 少陰의 外邪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頭痛을 [腦動]이라고 일컫는다. 즉 腦中에 진동하는 고통이 있는 것이다. 약리실험에 있어서는 정유의 해열 및 진통작용이 인정되었으며, 특히 냉방시의 작용력이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것은 細辛이 온성의 진통약이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밖에 항알레르기작용, 항히스타민작용, 기관지확장작용 등이 인정되었다. 또 附子의 강심성분으로 단리된 하이게나민은 그 구조상으로도 교감신경작동약이라는 점이 판명되었다. 이 성분은 細辛의 신진대사 항진작용과 去寒 및 혈행 촉진작용을 고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辛甘熱의 附子는 부신피질계를 자극하여 전신의 대사기능을 촉진하여 저항력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개선촉진하여 한 . 냉을 몰아내 麻黃 . 細辛의 발한작용을 돕는다. 즉 回陽補火散寒하여 强心溫補利尿한다. 또 진통효과도 강하다.
이상과 같이 본방은 저항력이 허약한 사람의 표한증이므로 발한법만을 쓸 때는 도리어 체력이 소모되는 역효과가 나기 때문에 신체기능을 부활시키면서 해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이들 세 가지 약물은 모두 이뇨작용을 겸하고 있어서 부종을 경감하는 작용도 한다. 신체의 한냉감이 살아지면 당연히 진통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방은 노인이나 허약자 감기로 양방해열제나 葛根湯을 쓸 수 없을 때 아주 유효하다. 이럴 때 본방을 먹으면 빠를 때는 5분 늦어도 20∼30분이면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일본의 다쓰노(龍野一雄)씨는 본방의 응용목표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1) 허약한 자나 노인의 감기, 유행성 감기, 기관지염, 폐렴 등으로 맥이 침하고 가늘고 힘이 없으며 오한, 전신권태, 무기력하여 누워 있기를 좋아하고 두통 혹은 기침, 혹은 관절통이 있는 경우
2) 두통이 있고 머리가 차고, 발이 냉하다고 하는 자
3) 허약한 자가 기침을 하고 가끔 등에서 오한을 느끼고 희박한 담을 뱉어내고, 소변도 희박하고 양이 많은 자
4) 기관지천식으로 맥이 침하고 냉성인 자
5) 상악동염으로 맥이 침하고 코가 막히고 혹은 묽은 콧물이 나오는 자
6) 삼차신경통으로서 맥이 침하고 냉성인 자

☞ 조양해표법(助陽解表法) - 表寒과 裏寒을 동시에 치료하는
▷ 마황, 세신 - 해표(解表) ▷ 부자- 조양(助陽)
臨 床 피로감 . 무력감 . 식욕부진등 기허(陽虛)의 증후가 심하면 人蔘(黨蔘) . 黃耆 . 炙甘草 등을 가한다.
한 . 냉이 심하면 附子를 증량하거나 乾姜 . 肉桂를 가하고, 부종이 뚜렷하면 白朮 .茯笭 등을 가한다.
自汗이 보이면 麻黃을 줄이고 桂枝 . 白芍을 가하거나 桂枝湯을 합방한다.
頭部가 冷痛하면 防風 . 川芎을 가하고, 오한 . 두통이 심하지 않으면 細辛을 炙甘草로 바꾼 麻黃附子甘草湯을 쓴다.
본방은 細辛 . 麻黃의 항 allergy작용과 이뇨 . 진해작용 등으로 allergy성 비염 . 발작성부종 . 해수발작기에 유효하다. 小靑龍湯에 附子를 가하면 본방을 합방한 뜻이 된다. 이것은 신염부종이나 allergy성 비염에 한증이심할 때 좋다. 본방과 비슷한 陽虛表寒 . 소음병 감기약으로 桂枝湯을 가감한 再造散(傷寒六書)이 있다. 신온해표제로 麻黃대신에 桂枝湯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細辛과 防風 . 羌活을 가하고, 보양익기제
로 附子 외에 人蔘 . 黃耆를 가하고, 활혈 목적으로 川芎을 가한 것이다. 川芎은 혈관확장 . 혈행을 촉진하여 附子의 효능을 돕는다. 재조산은 전신기능촉진 . 대사항진 . 순환개선과 더불어 저항력 증가를 하면서 발한해열하기 때문에 허약자 감염증 초기에 아주 유효한 처방이다. 본방에 桂枝去芍藥湯을 합방한 것이 桂姜大棗草黃辛附湯으로 수족신냉 . 오한 . 골절동통 . 마비 . 복만복명 등 난치병으로 어떻게 해볼 수 없
을 때 쓰면 좋다. 타약이 일제 무효하고 대기일전하고 싶을 때 쓴다고 한다.
參 考 이열증상으로 소변적삽, 변비증상이 보이는 자, 신경예민, 불면자, 다혈질자는 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