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상산 常山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생약명 Dichroae Radix
分類 涌吐藥
主要 成分 α, β, γ-dichroine, febrifugine, isofebrifugine
基源 虎耳草科(범의귀과;Saxifragaceae) 식물인 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根.
性味·歸經 性味 : 寒, 辛, 苦, 有毒
歸經 : 肝, 肺, 心
效 能 湧吐痰涎 - 胸中痰飮積聚
截학 - 학질
主 治
處 方 例
用量·用法 5∼10g. 孕婦는 신중히 복용한다.
禁 忌
藥理 作用
應 用 1. 常山에는 학질치료작용은 있어 예로부터 학질치료의 전문약으로 삼아왔다.

2. 常山은 학질치료효과가 우수하지만 복후에 오심 . 구토를 유발하기 쉽다. 그러므로 용량을 준수하고 복후에 안정을 취할 것과 다른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단 병상을 억제하고 혈액중의 말라리아 원충을 없애지만 효과의 지속이 짭아 복약을 중단하면 쉽게 재발하는 단점이 있다.

3. 常山은 위장의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말초를 자극하는 작용을 하여 그 반사원인으로 구토를 유발하므로 최토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4. 임상에서는 주로 柴胡, 草果, 半夏, 靑蒿, 葛根 , 檳郞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5. 항말라리아 효과는 3일열, 4일열에 대해 비교적 좋고, 이에는 柴胡, 黃芩, 草果, 靑蒿 등을 넣어 쓴다. 가장 효과적인 복용시기는 발작 3시간전으로, 이때에 복용하면 흡수후 즉시 말라리아 원충의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6. 常山은 痰이나 위에 적체된 것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위점막에 대한 자극작용을 이용하여 위에 적체된 유해물질을 토출하고 또 胸腔에 남아 있는 액을 제거한다.
修治
參考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