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상호작용

약물 상호작용

다른 약물
성분 / 함량

상호작용 ( 총 16 건 )

성분 1 성분 2 내용
AcetohexamideSulfasalazine
  • Sulfonylureas/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요소계 약물의 반감기가 증가하여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설폰요소계 약물의 간 대사를 손상시키거나 혈장 단백결합을 치환하여 결과적으로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자세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설폰요소계 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대체제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복사
AzathioprineSulfasalazine
  • Thiopurines/Sulfonamides(Sulfasalazine)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백혈구 감소증, 골수억제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기전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파살라진이 치오푸린계 약물의 대사 효소인 TPMT(Thiopurine methyltransferase)를 억제하여 이 약물의 혈중 농도 및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치오푸린계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에게 설파살라진의 투여를 시작하거나 중단할 때에는 환자의 백혈구 수치를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필요시 치료법을 조정할 준비를 해야한다.
복사
ChlorpropamideSulfasalazine
  • Sulfonylureas/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요소계 약물의 반감기가 증가하여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설폰요소계 약물의 간 대사를 손상시키거나 혈장 단백결합을 치환하여 결과적으로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자세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설폰요소계 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대체제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복사
CyclosporineSulfasalazine
  • Immunosuppressants(Cyclosporine)/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특히 신장이식후) 시클로스포린의 작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경구용 설파제는 신독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기전 : 정확한 상호작용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 처치 : 부득이하게 두 약물을 병용투여할 경우에는, 환자의 시클로스포린 농도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자주 모니터링해야 하고 필요시 시클로스포린의 용량을 조절한다.
복사
DigoxinSulfasalazine
  • Digitalis Glycosides(Digoxin)/Sulfonamides(Sulfasalazine)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파살라진은 디곡신의 생체이용률을 감소시켜 치료 효과가 감약되게 한다.
  • 기전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잘 알려지지 않은 기전에 의해 디곡신의 흡수가 저해되어 이 약의 혈중농도 및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디곡신의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만약 디곡신 농도나 임상적 반응이 감소한다면, 설파살라진의 복용을 중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복사
Folic AcidSulfasalazine
  • Vitamin B(Folic Acid)/Sulfonamides(Sulfasalazine)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낮은 혈청 폴산 농도 및 낮은 적혈구세포 폴산, 거대적아구성빈혈, 대적혈구, 적혈구 증가증을 포함한 폴산 결핍의 증상들이 보고되었다. 결핍증과 관련된 구체적인 증상들은 기록되지 않았다.
  • 기전 : 두 약물의 병용시 설파살라진에 의해 폴산의 장내 흡수가 손상되고 폴산의 가수분해 과정이 변형되거나 감소됨으로써 폴산의 혈청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 처치 : 설파살라진을 복용 중일 경우에는 폴산의 혈청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만약 폴산 결핍이 나타나면 식이 중의 폴산 섭취를 증가시키고, 식사 중 설파살라진을 복용하거나 추가적인 폴산이나 폴린산(Folinic acid)을 투여하는 등 잠재적인 치료방법들을 실시하여야 한다. 설파살라진의 복용을 중지하면 폴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만약 다른 방법이 먼저 시도된다면 이러한 조치는 실시될 필요가 없다.
복사
GlipizideSulfasalazine
  • Sulfonylureas/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요소계 약물의 반감기가 증가하여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설폰요소계 약물의 간 대사를 손상시키거나 혈장 단백결합을 치환하여 결과적으로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자세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설폰요소계 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대체제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복사
Mercaptopurine HydrateSulfasalazine
  • Thiopurines/Sulfonamides(Sulfasalazine)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백혈구 감소증, 골수억제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기전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파살라진이 치오푸린계 약물의 대사 효소인 TPMT(Thiopurine methyltransferase)를 억제하여 이 약물의 혈중 농도 및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치오푸린계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에게 설파살라진의 투여를 시작하거나 중단할 때에는 환자의 백혈구 수치를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필요시 치료법을 조정할 준비를 해야한다.
복사
MethotrexateSulfasalazine
  • Methotrexate/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메토트렉세이트(MTX)-유도성 골수 억제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MTX는 환자가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유도성 거대적아구성빈혈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MTX를 단백결합 부위로부터 치환시켜 유리 MTX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세뇨관에서의 MTX 수송 기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배설이 지연되어 신청소율이 감소됨으로써 MTX의 작용이 증강되거나 독성이 증가될 수 있다. MTX는 엽산 결핍을 유도하여 TMP-SMZ의 투여시 급성의 거대적아구성빈혈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처치 : 부득이하게 두 약물의 병용을 피할 수 없다면, 환자에게 혈액학적 독성의 징후나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복사
Methotrexate SodiumSulfasalazine
  • Methotrexate/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메토트렉세이트(MTX)-유도성 골수 억제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MTX는 환자가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유도성 거대적아구성빈혈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MTX를 단백결합 부위로부터 치환시켜 유리 MTX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세뇨관에서의 MTX 수송 기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배설이 지연되어 신청소율이 감소됨으로써 MTX의 작용이 증강되거나 독성이 증가될 수 있다. MTX는 엽산 결핍을 유도하여 TMP-SMZ의 투여시 급성의 거대적아구성빈혈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처치 : 부득이하게 두 약물의 병용을 피할 수 없다면, 환자에게 혈액학적 독성의 징후나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복사
TolazamideSulfasalazine
  • Sulfonylureas/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요소계 약물의 반감기가 증가하여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설폰요소계 약물의 간 대사를 손상시키거나 혈장 단백결합을 치환하여 결과적으로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자세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설폰요소계 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대체제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복사
TolbutamideSulfasalazine
  • Sulfonylureas/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설폰요소계 약물의 반감기가 증가하여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다.
  • 기전 :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설폰요소계 약물의 간 대사를 손상시키거나 혈장 단백결합을 치환하여 결과적으로 약물의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자세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설폰요소계 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대체제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복사
WarfarinSulfasalazine
  • Anticoagulants(Warfarin)/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와파린의 항응고 효과가 증가하여 출혈 및 프로트롬빈시간 연장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명확하지는 않으나,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와파린의 간대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혈장단백에 결합한 와파린과 치환하여 와파린을 유리시킴으로 와파린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복합제는 S-와파린의 간 대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환자의 프로트롬빈 시간 및 INR을 규칙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와파린의 용량을 조절한다.
복사
Warfarin PotassiumSulfasalazine
  • Anticoagulants(Warfarin)/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와파린의 항응고 효과가 증가하여 출혈 및 프로트롬빈시간 연장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명확하지는 않으나,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와파린의 간대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혈장단백에 결합한 와파린과 치환하여 와파린을 유리시킴으로 와파린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복합제는 S-와파린의 간 대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환자의 프로트롬빈 시간 및 INR을 규칙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와파린의 용량을 조절한다.
복사
Warfarin SodiumSulfasalazine
  • Anticoagulants(Warfarin)/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와파린의 항응고 효과가 증가하여 출혈 및 프로트롬빈시간 연장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명확하지는 않으나,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와파린의 간대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혈장단백에 결합한 와파린과 치환하여 와파린을 유리시킴으로 와파린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복합제는 S-와파린의 간 대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환자의 프로트롬빈 시간 및 INR을 규칙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와파린의 용량을 조절한다.
복사
Warfarin Sodium ClathrateSulfasalazine
  • Anticoagulants(Warfarin)/Sulfonamide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와파린의 항응고 효과가 증가하여 출혈 및 프로트롬빈시간 연장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명확하지는 않으나, 설폰아미드계 약물은 와파린의 간대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혈장단백에 결합한 와파린과 치환하여 와파린을 유리시킴으로 와파린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복합제는 S-와파린의 간 대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환자의 프로트롬빈 시간 및 INR을 규칙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와파린의 용량을 조절한다.
복사

법적 고지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