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KPIC 학술
 팜리뷰 비타민 및 주요 미네랄(1), 약학정보원(김성철), 2013-10-21
 팜리뷰 아세트아미노펜 바로알기, 약학정보원(곽혜선), 2013-09-24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1. 주효능, 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치통 


2. 다음 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관절통, 류마티스성 동통 



(상기 효능·효과와 다른 용도로 사용시에는 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용법 · 용량

복사

1. 성인 : 1일 3회, 1회 1-2정 복용 


2. 12세 이하 : 1일 3회, 1회 1정씩 복용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법적 고지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

1. 주효능, 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치통 


2. 다음 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관절통, 류마티스성 동통 



(상기 효능·효과와 다른 용도로 사용시에는 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 성인 : 1일 3회, 1회 1-2정 복용 


2. 12세 이하 : 1일 3회, 1회 1정씩 복용
[허가사항 변경지시(안전성정보 처리) (의약품관리총괄과-11696호, 2014.12.31.)]


1. 경고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 될 수 있다.


2.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지 말 것.

   이 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되어 있다.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제품과 함께 복용하여 일일 최대용량(4,000mg)을 초과할 경우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해서는 안 된다.


3. 다음 사람은 복용하지 마시오.

 1) 지금까지 이 약에 의한 과민 증상 (예를 들면 발진, 발적 가려움, 부종 (후두, 눈꺼풀, 입술 등))을 일으킨 적이 있는 사람

 2) 지금까지 이 약 또는 다른 감기약, 해열 진통제를 사용하여 천식이 나타난 적이 있는 사람


4.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장애 환자

 2) 신장애 환자


5. 부작용

 1) 혈액 : 드물게 혈소판감소, 과립구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과민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위장 : 때때로 구역, 구토,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간 사용시 위장관에 대한 부작용 특히 출혈, 궤양 및 천공이 나타날 수 있다.


6. 복용시 주의사항

 1) 이 약의 복용에 의해 드물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할 것

 ① 이 약의 복용 후 곧바로 두드러기, 부종(후두,눈꺼풀, 입술 등), 가슴답답함 등과 함께 안색이 창백해지고, 수족이 차가와 지고, 식은땀, 숨가뿜 등이 나타나는 경우

 ② 고열을 수반하며 발진, 발적, 화상모양 수포 등의 격렬한 증상이 전신피부, 입 및 눈의 점막에 나타난 경우

 ③ 천식이 나타난 경우

 2) 바르비탈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및 알코올을 투여한 환자는 다량의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사시키는 능력이 감소되어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장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알코올은 아세트아미노펜 과량투여의 간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7. 일반적 주의

    유사화합물 투여에 의한 간질성 신염, 혈색소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기 투여를 피한다.


8. 임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임신 말기의 랫트에 투여한 실험에서 태자의 동맥관 수축이 보고된 바 있다.


9.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10. 과량투여

  간장, 신장, 심근의 괴사가 일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