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복사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648200270 - 삭제(2010-07-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KPIC 학술
 팜리뷰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약학정보원(정경혜), 2017-04-03
 팜리뷰 [약물]약물 유발성 경련, 약학정보원(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12 12 2023
대한약사저널
 OTC vs OTC 지르텍 vs 클라리틴 vs 알레그라, 최민욱 약사, 2022-12-12
 비밀노트 항히스타민제, 박정빈 약사, 2021-12-27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알레르기성 비염(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의 작열감),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용법 · 용량

복사

성인 및 12세 이상의 소아 : 로라타딘으로서 1일 1회 10mg을 경구투여한다.

6-12세 미만의 소아 

- 체중 30kg이상 : 이 약으로서 1일 1회 10mg 투여한다.

- 체중 30kg이하 : 이 약으로서 1일 1회 5mg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알레르기성 비염(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의 작열감),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성인 및 12세 이상의 소아 : 로라타딘으로서 1일 1회 10mg을 경구투여한다.

6-12세 미만의 소아 

- 체중 30kg이상 : 이 약으로서 1일 1회 10mg 투여한다.

- 체중 30kg이하 : 이 약으로서 1일 1회 5mg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6세 미만의 소아(정제에 한함.)

3) 2세 미만의 소아(시럽제에 한함.)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간장애 또는 신부전 환자

3. 부작용

이 약과 위약과의 비교 임상시험에서 진정작용, 항콜린작용이 관찰되었고 피로, 구역, 두통, 빈맥, 실신, 구갈, 위장장애, 식욕증진 등이 보고되었다. 그 밖에 탈모증, 아나필락시스, 간기능 장애, 상실성 부정빈맥 등이 나타난다.

4. 일반적 주의

만일 피부자극 시험을 할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제들이 피부반응 표시기에 양성반응을 방해 및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시험 실시 약 4일 전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5. 상호 작용

이 약과 시메티딘, 에리스로마이신, 케토코나졸, 퀴니딘, 플루코나졸, 플루옥세틴과 병용 투여시 이 약의 대사가 저해되어 혈중 농도가 높아진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이 모유중으로 이행되므로 수유중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을 투여했을 때에는 즉시 대증요법과 지지요법을 시작하여야 한다. 환자가 자발적으로 구토를 일으키지 않더라도, 구토를 유발시켜야 한다. (토근을 이용하는 방법이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구토를 유도하여서는 안된다. 구토 후에 약용탄과 물을 희석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만일 구토가 성공적이지 못하거나 금기 사항일 경우는 위세척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약은 투석으로는 제거되지 않는다. 응급처치 이후 환자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