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KPIC 학술
 팜리뷰 [Pharmacotherapy Today] 관상동맥질환의 약물요법, 약학정보원(김광준), 2022-11-04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용법 · 용량

복사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엘-카르니틴으로서 1일 2~3그람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밀리그람/킬로그람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엘-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법적 고지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엘-카르니틴으로서 1일 2~3그람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밀리그람/킬로그람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엘-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허가사항변경(안전성 정보처리) 의약품안전평가과-463, 2019.01.23.]


1. 경고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에 과민증환자


3. 부작용

일시적인 구역ㆍ구토, 복통, 설사, 체취가 나타날 수 있다. 위염이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경구나 정맥으로 엘카르니틴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에서 발작이 보고되었다. 기존의 발작 병력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발작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만성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에서 인과성과 관계없이 아래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 되었다.

<인체에서 인과성에 관계없이 5%이상 빈도를 보이는 이상반응> 수치는 %를 의미함

  위약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n=63) 10mg(n=34) 20mg(n=62) 40mg(n=34) 10,20,40mg(n=130)
<전신>          
복통 17 21 5 6 9
우발적상해 10 12 8 12 10
알러지 반응 5 6     2
천식 8 9 8 12 9
요통 10 9 8 6 8
흉통 14 6 15 12 12
5 6 5 12 7
독감증후군 40 15 27 29 25
두통 16 12 37 3 22
감염 17 15 10 24 15
주사부위 반응 59 38 27 38 33
통증 49 21 32 35 30
<심혈관계>   3      
부정맥 5     3 2
심실세동   3 2 6 2
심혈관계 질환 6 2 5 6 5
비정상적심전도   9   6 2
출혈 6 18 2 3 4
고혈압 14 15 21 21 20
저혈압 19 3 19 3 14
심계항진   6 8    
빈맥 5   5 9 6
혈액질환 2   2 6 2
<소화기계>          
식욕부진 3 3 5 6 5
변비 6 3 3 3 3
설사 19 9 10 35 16
소화불량 10 9 6   5
위장관 질환 2 3   6 2
혈변 3 6     2
구역 10       2
위장 무기력 5 9      
구토 16 9 16 21 15
<내분비계>          
부갑상선 질환 2 6 2 6 4
<혈액 및 림프계>          
빈혈 3 3 5 12 6
<대사성/영양성> 3   8    
고칼슐혈증 6 15 6 6 9
고칼륨혈증 17 6 3 6 6
과혈량증 3 3 5 12 5
말초부종 3 6 8 3 5
체중감소   3   3 5
체중증가   3   6 2
<근육-골격계>     8   4
다리경련 13        
근육통 6        
<신경계> 5   2   1
불안 3   5 6 5
우울 11 6 10 15 13
어지러움 2 18     2
약물의존 5 6     1
긴장항진 6 3 6   4
불면 3 3 3 12 5
감각이상   3     2
현훈   6      


  위약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엘카르니틴
  (n=63) 10mg(n=34) 20mg(n=62) 40mg(n=34) 10,20,40mg(n=130)
<호흡계>          
기관기염     5 3 3
기침 증가 16 3 10 18 9
호흡곤란 19 24 11 3 7
인두염 33   27 15 23
호흡계 질환 5 6      
비염 10   11 6 9
부비강염 5   2 3 2
<피부계>          
소양증 13   8 3 5
발진 3   5 3 3
<특별감각계> 2        
약시 3 6 6   3
안질환     3   3
미각이상     2 9 3
<비뇨기계>          
비뇨기 감염 6 3 3   2
신부전 5 6 6 6 6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발진, 두드러기, 안면부종이 보고되었다.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요독증 환자에게서 경증의 근무력증이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신부전 환자에서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중증 신장 기능 부전 환자나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ESRD 환자에게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을 고용량으로 만성 투여 시 잠재적인 독성 물질인 트리메틸아민(TMA) 및 트리메틸아민-N-옥사이드(TMAO)의 축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대사산물은 요로 배설되기 때문이다.


5. 상호작용

 와파린 사용 환자에서 INR 증가가 보고되었다. 와파린을 투여 받는 환자에게 L-카르니틴의 치료를 시작하였거나 용량 적정을 실시한 후에는 INR 수치를 모니터링 할 것이 권장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를 대상으로 L-카르니틴을 투여한 적절한 자료가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랫드와 토끼에서 수행된 생식독성시험에서 체표면적 기준으로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의 3.8배까지 생식능이나 태자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인체에서의 잠재적 위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수유부에서 L-카르니틴이 모유를 통해 배출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유익성ㆍ위해성을 고려하여 수유 또는 L-카르니틴의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카르니틴 과량 투여로 인한 독성은 보고된 바 없다. 과량투여시 투석을 통하여 혈장 중 L-카르니틴을 제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