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 경기기간중 : 금지 ·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645203932 - 20500원/500g/병 급여(2023-06-01)
 - 20500원/500g/병 급여(2018-07-25)
 - 20500원/500g/병 급여(2017-06-01)
 - 20500원/500g/병 급여(2017-02-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KPIC 학술
 팜리뷰 [Social Pharmacy Perspective] 아토피피부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공포증과 약사의 역할, 약학정보원(학술정보센터), 2022-05-27
 팜리뷰 [Trend Focus] 아토피피부염 국내·외 가이드라인 및 신규 key player 치료제 소개NEW , 약학정보원(김현정), 2022-05-20
 팜리뷰 [Pharmacotherapy Today]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약물요법, 약학정보원(신나영), 2022-05-06
 팜리뷰 약물요법 - 올바른 스테로이드 약물 사용법, 약학정보원(최선), 2015-11-30
대한약사저널
 이슈트랜드 아토피피부염과 마이크로바이옴,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2020-05-25
 이슈트랜드 아토피피부염의 Key players와 신약 개발,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2020-05-18
 이슈트랜드 피부 ‘안·밖’ 면역 이상, 아토피피부염의 시작, 2020-05-11
 이슈트랜드 아토피피부염의 일반현황과 증상, 2020-05-04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겐타마이신 감수성 균에 의한 피부의 2차 감염 :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 단순태선, 간찰진, 박탈성 피부염

용법 · 용량

1일 1 ~ 2회 환부에 도포하고 주의깊게 문지른다. 증상이 경감되면 1일 1회 적용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약정보

제조 · 수입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겐타마이신 감수성 균에 의한 피부의 2차 감염 :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 단순태선, 간찰진, 박탈성 피부염
1일 1 ~ 2회 환부에 도포하고 주의깊게 문지른다. 증상이 경감되면 1일 1회 적용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피부결핵, 단순포진, 수두, 대상포진, 종두진, 매독 환자(면역기능억제작용에 의해 감염증이 악화될 수 있다)

2)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고막에 천공이 있는 습진성 외이도염 환자(천공부위의 치유가 지연되고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4) 피부궤양 환자(피부재생이 억제되고 치유가 지연될 수 있다)

5) 바이러스성▪세균성▪진균성 피부감염 환자(면역기능억제작용에 의해 감염증이 악화될 수 있다)

6) 주사(rosacea), 여드름, 입주위 피부염 환자

7) 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등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또는 바시트라신에 의한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이 약은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프로필렌글리콜 함유제제에 한함).

3. 이상반응

1) 피부감염증 : 피부의 진균성(칸디다증, 백선증 등) 및 세균성(전염성 농가진, 모낭염 등), 바이러스성 감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특히 밀봉법(ODT)의 경우에 나타나기 쉽다].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적절한 항진균제나 항균제 등을 병용하고, 증상이 빨리 개선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2) 기타의 피부증상 : 장기 연용에 의해 스테로이드성 여드름(심상성 여드름과 비슷하나 백색의 면포가 다발하는 경향이 있다), 스테로이드성 피부(피부위축, 모세혈관확장), 스테로이드성 주사 ▪입주위 피부염(입주위 때때로 안면 전체에 홍반, 구진, 모세혈관 확장, 가피, 인설 등이 생긴다), 어린선양 피부변화, 자반, 다모, 색소탈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천천히 그 사용량을 줄여 코르티코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약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3) 과민반응 : 피부 자극감, 발진, 가려움, 건조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4) 뇌하수체▪부신피질계 : 대량 또는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하거나 특히, 밀봉법으로 사용할 경우 뇌하수체▪부신피질기능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5) 눈 : 안검피부에 사용시에는 안압상승,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대량 또는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하거나 특히, 밀봉법으로 사용할 경우 후낭하 백내장, 녹내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빈도불명의 시야흐림이 나타날 수 있다.

6) 신장애, 난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연용을 피한다.

7) 균교대현상 : 드물게 이 약에 대하여 비감수성균에 의한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8) 이 약은 안식향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식향산은 피부, 눈, 점막에 경미한 자극이 될 수 있다(안식향산 및 안식향산나트륨 함유제제에 한함).

4. 일반적 주의

1) 대량, 장기간, 광범위하게(특히 밀봉법) 사용함으로써 코르티코이드 전신투여와 같은 증상(부신피질기능억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기, 대량사용 및 밀봉법을 피한다.

2) 피부위축, 스테로이드성 홍조 등의 국소적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특히 안면, 목, 음부 등 간찰(間擦)부위의 피진에 사용시에는 증상의 정도를 충분히 고려한다.

3) 감작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여 감작증후(가려움, 발적, 종창, 구진, 수포 등)가 나타날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4) 장기연용하지 않는다.

5) 눈 및 생식기 주위에는 주의 깊게 사용한다.

6)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7) 증상이 개선되면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신속히 사용을 중지한다.

8) 전신 및 국소 코르티코이드 사용 시 시각장애가 보고될 수 있다. 만약, 환자에서 시야흐림 또는 기타 시각장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전신 및 국소 코르티코이드 사용 후에 보고되었던 백내장, 녹내장 또는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R))과 같은 드문 질환을 포함하여 시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과전문의에게 진료받을 것을 고려해야 한다.

5. 상호작용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과 교차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 대해서는 대량 또는 장기간에 걸친 사용을 피한다.

2) 관찰연구는 임신 중 강하거나(potent) 매우 강한(very potent) 국소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300g 이상 사용 시 저체중아 출산 위험성이 증가함을 제시하였다. 임부에게 이 약으로 인해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고, 가능한 피부의 작은 부위에 짧은 기간 동안 이 약을 사용하도록 조언한다.

3) 피부에 장기간, 광범위하게 사용시에는 수유를 하지 않는다.

4) 다량의 베타메타손디프로피오네이트를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모유에 검출 가능할 만큼 충분한 전신 흡수가 초래될 수 있다. 모유수유의 발달상 및 건강상의 이점과 이 약에 대한 모체의 임상적 필요를 고려해야 하며, 이 약이 수유 영아에 미치는 잠재적인 부작용과 모체의 건강 상태가 수유 영아에 미치는 잠재적인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유▪소아에게 이 약의 장기간 대량사용 또는 밀봉법에 의하여 발육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기저귀도 밀봉법과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에 투여시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대량 또는 장기간 광범위한 부위에 밀봉법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주의한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의 과량투여에 의해 이상반응이 증가된다. 상처 또는 개열된 피부에 전신적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과 이 약을 광범위하게 병용투여시 겐타마이신에 의한 독성(귀 및 신장독성) 축적 가능성이 있다.

10. 적용상의 주의

1) 안과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 밑화장이나 면도후 등 치료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11. 기타

건선 환자에 장기간 대량 사용한 경우에는 치료중 또는 치료중지 후에 건선성 홍피증, 농포성 건선 등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