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의약품심사결과 페린젝트주(수산화제이철카르복시말토오스복염) 정보공개-안전성유효성검토서-페린젝트주.pdf 정보공개-페린젝트주_제출자료목록.pdf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평가결과 급여, 2024년 제1차 회의자료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pdf 평가결과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pdf 비급여, 201908052 평가결과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pdf 회의자료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pdf 비급여, 2018년 제03차 평가결과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pdf 회의자료_페린젝트주(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_18년 3차 수정.pdf 비급여, 2014년 제03차 ferric_hydroxide_carboxymaltose_complex.pdf
급여정보
644914411 - 115582원/20mL/병 급여(2024-05-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KPIC 학술
 팜리뷰 빈혈, 쉽게 볼 것인가?(2), 약학정보원(최혁재), 2017-11-27
 팜리뷰 빈혈, 쉽게 볼 것인가?(1), 약학정보원(최혁재), 2017-11-20
 팜리뷰 비타민 및 주요 미네랄(3), 약학정보원(김성철), 2013-11-04
대한약사저널
 OTC vs OTC 임산부에게 필요한 영양소, 서유미 약사, 2022-04-25
 비밀노트 철분제의 사용, 박정빈 약사, 2021-07-26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1. 경구용 철분제제의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복용이 불가능한 철 결핍환자

2. 임상적으로 빠른 철 보충이 필요한 철 결핍증 환자

용법 · 용량

복사

◎ 용 량

이 약의 총 투여량은 헤모글로빈 수치 및 체중에 따라 개인별로 결정되며, 과량 투여해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 결정에 다음의 표를 이용한다.


Hb

환자의 체중

(g/dL)

35kg 미만

35kg이상70kg미만

70kg이상

< 10

30mg/체중 kg

1,500 mg

2,000 mg

10 ≤Hb<14

15mg/체중 kg

1,000 mg

1,500 mg

≥14

15mg/체중 kg

500mg

500mg

과체중 환자는, 철 필요량을 결정할 때 정상 체중/혈액량의 관계를 추정해야 한다.

철분 보충 후, 철분 수치가 교정 및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 성인 및 14세 이상의 소아

<최대1회 투여량>

1회 투여량은 1일 철로서 1,000mg(20mL) 또는 체중kg당 철로서 20 mg(0.4mL)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철로서 1,000mg(20mL)의 투여는, 1주 1회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이 최대 1회 투여량보다 더 많은 경우 추가 용량의 투여는 첫 번째 용량과 최소 7일 간격을 두어야 한다.

· 만 1~13세의 소아

<최대1회 투여량>

1회 투여량은 1일 철로서 750mg(15mL) 또는 체중 kg당 철로서 15mg(0.3mL/kg)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철로서 750mg(15mL)의 투여는, 1주 1회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이 최대 1회 투여량보다 더 많은 경우 추가 용량의 투여는 첫 번째 용량과 최소 7일 간격을 두어야 한다.

· 1세 미만의 소아

페린젝트주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1세 미만의 소아에게서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1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 혈액투석 의존성 만성신장질환 환자

성인 및 14세 이상 소아의 경우, 혈액 투석 의존성 만성 신장 질환 환자의 경우 1일 1회 최대 용량 200mg(4mL)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1~13세 소아에 대한 페린젝트주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약은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1~13세 소아에게는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 용 법

이 약의 매번 투여 중과 투여 후에 과민반응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나는지 환자를 면밀히 관찰해야한다.

이 약은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장소(예를 들면, 해당 의료기기를 갖춘 장소 및/또는 긴급한 상황에 필수적인 의약품 투여가 가능한 장소)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즉시 인지 및 치료할 수 있도록 교육받은 전문인력(의사 및/또는 간호사)이 준비되었을 때 투여되어야한다. 환자는 이 약의 주입 후 최소 30분 동안 이상반응이 나타나는지 관찰되어야 한다.

정맥으로만 투여되어야 한다. 이 약은 피하 또는 근육주사 할 수 없다.

정맥직접주사 또는 정맥점적주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정맥직접주사시 혈액투석 동안에는 투석기의 정맥측 가지에 희석하지 않고 바로 투여할 수 있다.

1. 정맥직접주사 : 이 약은 철로서 1,000mg 까지 희석하지 않은 용액으로 정맥주사할 수 있다. 철로서 200 mg 까지의 용량은, 정해진 투여 시간이 없다. 철로서 200mg 초과 500mg 이하의 용량은, 이 약을 100mg 철/min 이하의 속도로 투여해야 한다. 500mg 초과 1,000mg 이하의 용량은, 이 약을 15분 이상에 걸쳐 투여해야 한다.

1~13세 소아의 경우 단일 최대 용량은 체중 kg 당 철로서 15mg으로 750mg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2. 정맥점적주사 : 이 약은 정맥점적주사로 1회 최대 철로서 1,000mg (20mL)까지 투여할 수 있다.

1~13세 소아의 경우 단일 최대 용량은 체중 kg 당 철로서 15mg으로 750mg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이 약을 정맥점적주사 시에는, 0.9% m/V 멸균생리식염액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희석해야 한다.

[정맥점적주사를 위한 이 약의 희석방법]


페린젝트주

철로서

0.9%

멸균생리식염액의 양1

최소

투여시간

2mL이상

4mL이하

100mg이상

200mg이하

50 mL 이하

없음

4mL초과

10mL이하

200mg초과

500mg이하

100 mL 이하

6분

10mL초과

20mL이하

500mg초과

1000mg이하

250 mL 이하

15분

1. 안정성 이유로, 2 mg 철/mL(이 약의 부피 미포함) 보다 낮은 농도로 희석되어서는 안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1. 경구용 철분제제의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복용이 불가능한 철 결핍환자

2. 임상적으로 빠른 철 보충이 필요한 철 결핍증 환자
◎ 용 량

이 약의 총 투여량은 헤모글로빈 수치 및 체중에 따라 개인별로 결정되며, 과량 투여해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 결정에 다음의 표를 이용한다.


Hb

환자의 체중

(g/dL)

35kg 미만

35kg이상70kg미만

70kg이상

< 10

30mg/체중 kg

1,500 mg

2,000 mg

10 ≤Hb<14

15mg/체중 kg

1,000 mg

1,500 mg

≥14

15mg/체중 kg

500mg

500mg

과체중 환자는, 철 필요량을 결정할 때 정상 체중/혈액량의 관계를 추정해야 한다.

철분 보충 후, 철분 수치가 교정 및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 성인 및 14세 이상의 소아

<최대1회 투여량>

1회 투여량은 1일 철로서 1,000mg(20mL) 또는 체중kg당 철로서 20 mg(0.4mL)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철로서 1,000mg(20mL)의 투여는, 1주 1회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이 최대 1회 투여량보다 더 많은 경우 추가 용량의 투여는 첫 번째 용량과 최소 7일 간격을 두어야 한다.

· 만 1~13세의 소아

<최대1회 투여량>

1회 투여량은 1일 철로서 750mg(15mL) 또는 체중 kg당 철로서 15mg(0.3mL/kg)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철로서 750mg(15mL)의 투여는, 1주 1회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총 철 투여량이 최대 1회 투여량보다 더 많은 경우 추가 용량의 투여는 첫 번째 용량과 최소 7일 간격을 두어야 한다.

· 1세 미만의 소아

페린젝트주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1세 미만의 소아에게서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1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 혈액투석 의존성 만성신장질환 환자

성인 및 14세 이상 소아의 경우, 혈액 투석 의존성 만성 신장 질환 환자의 경우 1일 1회 최대 용량 200mg(4mL)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1~13세 소아에 대한 페린젝트주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약은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1~13세 소아에게는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 용 법

이 약의 매번 투여 중과 투여 후에 과민반응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나는지 환자를 면밀히 관찰해야한다.

이 약은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장소(예를 들면, 해당 의료기기를 갖춘 장소 및/또는 긴급한 상황에 필수적인 의약품 투여가 가능한 장소)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즉시 인지 및 치료할 수 있도록 교육받은 전문인력(의사 및/또는 간호사)이 준비되었을 때 투여되어야한다. 환자는 이 약의 주입 후 최소 30분 동안 이상반응이 나타나는지 관찰되어야 한다.

정맥으로만 투여되어야 한다. 이 약은 피하 또는 근육주사 할 수 없다.

정맥직접주사 또는 정맥점적주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정맥직접주사시 혈액투석 동안에는 투석기의 정맥측 가지에 희석하지 않고 바로 투여할 수 있다.

1. 정맥직접주사 : 이 약은 철로서 1,000mg 까지 희석하지 않은 용액으로 정맥주사할 수 있다. 철로서 200 mg 까지의 용량은, 정해진 투여 시간이 없다. 철로서 200mg 초과 500mg 이하의 용량은, 이 약을 100mg 철/min 이하의 속도로 투여해야 한다. 500mg 초과 1,000mg 이하의 용량은, 이 약을 15분 이상에 걸쳐 투여해야 한다.

1~13세 소아의 경우 단일 최대 용량은 체중 kg 당 철로서 15mg으로 750mg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2. 정맥점적주사 : 이 약은 정맥점적주사로 1회 최대 철로서 1,000mg (20mL)까지 투여할 수 있다.

1~13세 소아의 경우 단일 최대 용량은 체중 kg 당 철로서 15mg으로 750mg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이 약을 정맥점적주사 시에는, 0.9% m/V 멸균생리식염액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희석해야 한다.

[정맥점적주사를 위한 이 약의 희석방법]


페린젝트주

철로서

0.9%

멸균생리식염액의 양1

최소

투여시간

2mL이상

4mL이하

100mg이상

200mg이하

50 mL 이하

없음

4mL초과

10mL이하

200mg초과

500mg이하

100 mL 이하

6분

10mL초과

20mL이하

500mg초과

1000mg이하

250 mL 이하

15분

1. 안정성 이유로, 2 mg 철/mL(이 약의 부피 미포함) 보다 낮은 농도로 희석되어서는 안된다.

1. 경고

철 제제의 비경구적 투여는 치명적일 수 있는 유사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과민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위한 설비를 갖춘 기관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투여 중 알레르기 반응 또는 과민증의 징후가 있는 경우, 투여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또한 과민반응은 이 약을 포함하여 비경구철 복합제 투여 전에 시험 용량으로 투여 받은 환자에서도 보고되었다. 코니스(Kounis) 증후군(심근 경색을 유발할 수 있는 급성 알레르기성 관상 동맥 연축, 4. 이상반응항 참조)으로 진행된 과민 반응이 보고된 바 있다. 각 환자는 이 약 투여 후 적어도 30분 동안 이상반응을 관찰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환자

2) 다른 비경구 철 제제에 대한 중대한 과민반응이 알려진 환자

3) 철 결핍증 이외의 빈혈 환자(예 : 소적혈구성 빈혈 등)

4) 철분 과다 또는 철 이용 장애 환자

5) 진행형 세균혈증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비경구적 철은 유익성과 위험성을 신중히 평가한 후 투여되어야 한다. 비경구적 철 투여는 간부전 환자에게 철분 과다, 특히 만발성 피부 포르피린증을 촉진시키는 요소가 되므로 투여를 피해야 한다.)

2) 급성 또는 만성 감염 환자 (만성 감염 환자에서는 적혈구 생성 억제를 고려하여 유익성과 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야 한다.)

3) 천식, 습진, 아토피알러지 환자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4) 약물 알러지를 포함한 알러지 환자

5) 면역 또는 염증 질환(예, 전신 루푸스 홍반성낭창,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6) 임부

4. 이상반응

1) 임상 시험에서 보고된 약물이상반응(ADRs)은 다음 표에 요약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약물이상반응은 오심이였고 (환자의 3.2%에서 발생), 주사/주입 부위 반응, 저인산혈증, 두통, 홍조, 어지러움 및 고혈압이 보고되었다. 주사/주입 부위 반응은 흔하지 않거나 또는 드물게 발생하는 몇가지 약물이상반응으로 구성된다. 가장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은 아나필락시스 반응(드물게)이며, 사망이 보고되었다.


기관

매우 흔하게

(10%이상)

흔하게

(1%이상10%미만)

흔하지 않게

(0.1%이상1%미만)

드물게

(0.01%이상0.1%미만)

면역계

-

-

과민반응

아나팔락시스 반응

신경계

-

두통, 어지러움

미각 이상, 감각 이상

-

심장계

 

 

빈맥

-

혈관계

-

홍조, 고혈압

저혈압

정맥염

호흡기계, 흉부 및 종격

-

-

호흡 곤란

-

소화기계

-

오심

복통, 구토, 변비, 설사, 소화 불량

고창

피부 및

피하조직계

-

-

가려움,두드러기, 홍반, 발진*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

-

관절통,

근육통, 사지 통증,

요통, 근육경련

-

전신 및

주사부위

-

주사부위 반응**

발열, 피로, 오한, 흉통, 말초 부종, 통증, 권태

경직

임상

검사치

-

 

ALT(알라닌 아미노 전이 효소)증가,

AST(아스파르트산 아미노 전이 효소) 증가,GGT(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 증가, ALP(혈액 알칼리 인산 분해 효소) 증가, 혈중LDH(젖산 탈수소효소) 증가

-

대사 및 영양

-

저인산 혈증

-

-

* 다음의 약물이상반응 포함 :

- 흔하지 않게: 발진

- 드물게: 홍반성발진, 전신발진, 반점형 발진, 반상 구진 발진, 소양성 발진

** 다음의 약물이상반응 포함하지만 국한되지 않음:

- 흔하지않게: 주사 부위 통증, 주사 부위 타박상, 주사 부위 혈종, 주사 부위 변색, 주사 부위 혈관 외 유출, 주사 부위 자극감, 주사 부위 반응

- 드물게: 주사 부위 감각 이상

2) 시판후 자발적 보고에 따른 약물이상반응

페린젝트주의 지속적인 시판후조사의 일부로서, 다음의 약물이상반응이 관찰되었다.


 

기관

 

약물이상반응

 

신경계

 

의식 소실 및 현기증(1)

 

정신계

 

불안(2)

 

심혈관계

실신(2), Kounis 증후군(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는 급성 알레르기성 관상동맥연축)(1)

 

피부 및 피하조직계

혈관부종(2), 피부염(2), 창백함(2), 원위피부 변색(2), 얼굴 부종(1)

 

호흡기계, 흉부 및 종격

기관지 경련(2)

전신 및 주사부위

인플루엔자 유사증상(2)

(1) 시판 후 조사에서만 보고된 약물이상반응(발생빈도 불명, 드물게로 추정)

(2) 임상 시험(발생빈도 드물게) 및 시판 후 조사(발생빈도 불명)에서 보고된 약물 이상반응

3)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①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동안 6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49%(9/603명, 총 9건)로 보고되었다.중대한 이상사례 및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②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평가 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새로 확인된 것은 없었다.

4) 소아에 대한 이상반응

1세에서 17세 사이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 프로파일은 성인과 유사하다. 110명의 소아 환자가 7건의 임상 연구에서 이 약을 투여를 받았으며,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된 심각하지 않은 약물이상반응은 저인산혈증(n=5), 두드러기(n=5), 주사/주입 부위 반응(n=4), 복통(n=2), 홍조(n=2), 두통(n=2)이었다. 발열(n= 2), 간 효소 증가(n = 2) 및 발진(n = 2)이다. 변비, 위염, 고혈압, 소양증 및 갈증은 1회만 보고되었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을 투여할 때 혈관 밖으로 약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약이 주사부위에 누출되는 경우 피부를 갈색으로 변색시키거나 자극을 줄 수 있다. 약액 누출시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2) 이 약 1 mL에는 5.5 mg (0.24 mmol)까지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WHO에서 성인의 일일 최대 나트륨 섭취량 2g의 0.3%에 해당합니다.

3) 이 약의 투여에 의한 운전이나 기계 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4) 혈액투석-의존성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 대하여 1회 철로서 200mg을 초과한 투여는 안전성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

5) 증상성 저인산혈증 및 저인산혈성 골연화증

시판 후 조사에서, 골연화증 및 골절(수술 등 의학적 처치가 필요한)로 진행될 수 있는 증상성 저인산혈증(symtomatic hypophosphataemia)이 보고되었다. 근육통이나 골 통증으로 피로가 악화된 환자는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이 약을 고용량으로 반복투여, 장기투여하거나 증상성 저인산혈증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는 혈청인산염 수치를 모니터 해야 한다.

증상성 저인산혈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로는 지용성 비타민 또는 인산염 흡수장애와 관련 있는 위장관 장애, 근위 신세뇨관 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사용, 부갑상선 항진증, 비타민 D 결핍 및 영양실조의 병력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저인산혈증이 지속되는 경우, 이 약의 치료를 재평가 한다.

6. 상호작용

모든 비경구 철분 제제는 경구용 철분제제와 함께 투여하는 경우 경구용 철분제제의 흡수가 저해된다. 따라서, 경구용 철분제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 이약 마지막 투여 후 5일 이내에는 경구철분제제 투여를 시작하지 않도록 한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이 약 사용에 관한 임상자료는 제한적이다. 임신 기간 중에는 사용 전 유익성과 위험성을 신중하게 평가하여야 하고,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투약하도록 한다.

2) 비임상 시험에서 이 약에서 유리된 철이 태반을 제한적이고, 통제된 양으로 통과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어미 비-독성 용량으로 이 약을 임신한 동물에게 처치한 결과 배아 또는 태아에 대한 이상반응은 없었으나, 임신기에 이 약의 사용은 태아의 골격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어미 독성 유발 용량에서 태자에게 경미한 골격 이상이 나타난 바 있다. 12. 기타 항 참조)

3) 임신초기 3개월에 나타나는 철분 부족의 경우 대부분 경구철분제제의 투여로 치료될 수 있다. 이 약의 치료는 모체와 태아 모두에게 유익성이 잠재적 위해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임신 2기 및 3기로 제한되어야 한다.

4) 비경구적으로 철을 투여한 후 모체에서 보통 일시적인 과민반응의 결과로 태아서맥이 발생할 수 있다. 임부에게 비경구적으로 철을 투여하는 동안 뱃속 아기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

5) 임상 시험에서 이 약 중 철 성분의 모유로의 이동은 무시할만한 양이었다(1%이하). 수유부에 대한 자료가 제한적이므로, 이 약이 수유부에 대한 위험성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수유부에는 신중히 투여하도록 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이 약의 효능과 안전성은 1세 미만의 소아에게서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1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투여시점에 철분 부족 교정에 필요한 양을 초과한 양으로 이 약 투여시, 저장부위의 철분 축적을 일으켜 헤모시데린 침착증을 일으킬 수 있다. 혈청 페리틴 및 트랜스페린 포화도와 같은 철 파라미터의 측정은 철 축적을 알아내는데 도움을 준다. 철 축적이 발생하였다면, 철환제(iron chelator)의 사용과 같은 표준의료요법에 따라 처치한다.

10. 적용상의 주의

1) 사용하기 전에 침전물 유무나 손상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침전물이 없고, 균등한 용액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이 약은 1회 사용하고 투여하고 남은 용액은 버려야 한다.

3) 이 약은 0.9% 멸균 생리 식염액과만 혼합하여야 한다. 침전 생성이나 상호작용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다른 정맥용 희석액이나 치료제와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4) 이 약은 폴리에틸렌 및 유리 이외의 용기에 대한 안정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5)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이 약의 개봉 또는 0.9%멸균생리식염액에 희석된 후에는 즉시 사용하도록 한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밀봉 용기, 실온(1-30℃)에서 보관한다. 얼리지 않아야 한다.

12. 전문가를 위한 정보




12.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정보

이 약은 철 복합체인 삼철 카르복시말토스의 콜로이드 용액이다.

이 복합체는 체내 철 수송 단백질(트랜스페린)과 저장 단백질(페리틴)에  사용 가능한 철분을 통제된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59Fe를 포함한 페린젝트의 적혈구 이용률은 철 결핍 환자에서 91%에서 99%, 신성 빈혈 환자에서 61%에서 84%로 나타났으며, 이는 투여 후 24일째 관찰되었다.

2) 약동학적 정보

(1) 분포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통해 이 약에서 유래된 59Fe와 52Fe가 혈액에서 빠르게 제거되어 골수로 전달되고 간과 비장에 저장됨이 입증되었다.

철 결핍 환자에게 이 약(철로서 100~1,000mg)을 단일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때, 총 혈청 철분의 최대 농도는 각각 투여 후 15분에서 1.21시간 사이에 37μg/mL에서 333μg/mL에 도달하였다. 중심 구획의 부피는 혈장 부피(약 3리터)와 잘 일치하였다.

(2) 배설

주사 또는 주입된 철분은 혈장에서 빠르게 제거되었으며, 말단 반감기는 7~12시간, 평균 체류시간(MRT)은 11~18시간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신장을 통한 배설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3) 소아 환자

이 약의 소아 환자에서의 약동학 특성은 15mg철/체중 kg에서 철결핍 성인 환자와 유사했다.

혈청 철은 7.5mg 철/체중 kg 또는 15mg 철/체중 kg의 단일 투여 후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했다.

15mg 철/체중 kg(최대 750mg)으로 이 약을 1회 투여한 후, 1.12시간 후에 평균 최대 총 혈청 철 수치 310μg/mL가 측정되었다. 말기 반감기는 9.8시간이었고, 집단 약동학 분석에 의해 추정된 분포 부피는 0.42 내지 3.14ℓ였다.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해 전신 노출(AUC0-72h 낮음)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연령 그룹당 중앙값: 3,340 μg×h/mL(1~2년), 4,110 μg×h/ mL(3~12세), 4,740μg×h/mL(13~17세), 8,864μg×h/mL(성인)).

3) 임상시험 정보

이 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철 결핍을 교정하기 위해 정맥 내 철분 투여가 필요한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주요 연구들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1) 심장 질환

만성 심부전

CONFIRM-HF 연구는 만성 심부전 및 철 결핍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n=150)과 위약(n=151)을 비교한 이중 눈가림, 무작위배정, 2-군 연구로, 52주 동안 치료가 진행되었다. Day1 및 Week 6(교정 단계)에서 시험대상자들은 선별 시의 기저치 헤모글로빈 수치와 체중을 사용한 간소화된 용량 표에 따라 이 약 또는 위약을 투여했다. Week 12, 24, 36(유지 단계)에서는 혈청 페리틴이 <100 ng/mL 또는 100~300ng/mL이면서 트랜스페린 포화도 <20%인 경우 이 약(500 mg 철분) 또는 위약을 투여했다. 이 약과 위약의 치료 효과는 주요 유효성 평가변수인 6분 보행 검사(6MWT)에서 기준점 대비 Week 24까지의 변화로 입증되었으며, 이 약은 33 ±11미터(p=0.002)의 개선을 보였다. 이 효과는 연구 기간 내내 지속되어 Week 52에는 36±11미터(p<0.001)로 나타났다.

EFFECT-HF 연구는 만성 심부전 및 철 결핍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n=86)과 표준 치료(n=86)를 비교한 개방형(평가 변수는 눈가림) 무작위배정, 2-군 연구로, 24주 동안 치료가 진행되었다. Day 1 및 Week 6(교정 단계)에서 시험대상자들은 선별 시의 기저치 헤모글로빈 수치와 체중을 사용한 간소화된 용량 표에 따라 이 약 또는 표준 치료를 받았다. Week 12(유지 단계)에서는 혈청 페리틴이 <100 ng/mL 또는 100~300 ng/mL이며 트랜스페린 포화도 <20% 인 경우 이 약(500 mg 철분) 또는 표준 치료를 투여했다.

이 약과 표준 치료의 치료 효과는 주요 유효성 평가변수인 기준점 대비 Week 24까지 체중 조정한 산소 섭취량(VO2) 피크의 변화로 입증되었으며, 이 약은 LS 평균 1.04 ±0.44(p=0.02)의 개선을 보였다.

(2) 신장 질환

혈액투석 의존성 만성 신질환

VIT-IV-CL-015 연구는 철 결핍성 빈혈로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n=97)과 철 사탕수수(iron sucrose, n=86)를 비교한 개방형, 무작위배정, 평행군 임상시험이다. 시험 대상자들은 개별적으로 계산된 누적 철분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이 약 또는 철 사탕수수를 200mg 철분 단위로 주 2~3회 투석기에 직접 투여받았다(이 약의 평균 누적 철분 용량: 1,700mg). 주요 유효성 평가변수는 기준점으로부터 4주 후에 헤모글로빈 수치가 ≥1.0 g/dL 증가한 환자의 비율이었다. 기준점으로부터 4주 후,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44.1%가 헤모글로빈 수치 ≥1.0 g/dL 증가로 반응을 보인 반면, 철 사탕수수를 투여받은 환자는 35.3%로 나타났다(p=0.2254).

혈액투석 비의존성 만성 신질환

1VIT04004 연구는 이 약(n=147)과 경구 철분(n=103)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 개방형, 무작위배정, 활성 대조 임상시험이다. 이 약 투여군의 시험대상자들은 기준점에서 1,000 mg 철분을 투여받았으며, 방문 시 트랜스페린 포화도<30%이고 혈청 페리틴 <500 ng/mL인 경우, 14일째와 28일째 각각 500 mg 철분을 추가로 투여받았다. 경구 철분 투여군의 시험대상자들은 기준점부터 56일까지 하루 3회 65 mg의 황산철(ferrous sulphate)을 복용했다. 시험대상자들은 연구 종료일 또는 56일까지 추적 관찰되었다. 주요 유효성 평가변수는 기준점부터 연구 종료일 또는 중재 시점 사이에 헤모글로빈 수치가 ≥1.0 g/dL 증가한 시험대상자의 비율이었다. 이 기준을 충족한 비율은 이 약을 투여받은 시험대상자 중 60.54%, 경구 철분 투여군에서는 34.7%로 나타났다(p<0.001). 56일째/연구 종료일까지 평균 헤모글로빈 변화는 이 약 투여군에서 1.0 g/dL, 경구 철분 투여군에서 0.7 g/dL로 나타났으며 (p=0.034, 95% CI: 0.0, 0.7), 이 약 투여군에서 우월한 효과를 보였다.

(3) 소화기 질환

염증성 장질환

VIT-IV-CL-008 연구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철 결핍성 빈혈을 개선하기 위해 이 약과 경구 황산철의 유효성을 비교한 무작위배정, 개방형 임상시험이다. 시험대상자들은 이 약(n=111)을 개별적으로 계산된 철분 용량(Ganzoni 공식에 따라)을 충족할 때까지 주 1회 최대 1,000 mg 철분 단회 투여(평균 누적 철분 용량: 1,490mg)하거나, 황산철로 하루 두 번 100 mg 철분을 12주 동안 투여(n=49)받았다. 이 약을 투여받은 시험대상자들은 기준점에서 12주째까지 헤모글로빈 수치의 평균 변화는 3.83 g/dL 증가했으며, 이는 황산철을 하루 두 번 12주간 복용한 경우(3.75 g/dL)와 비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p=0.8016).

FER-IBD-07-COR 연구는 완화되었거나 경증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과 철 사탕수수(iron sucrose)의 유효성을 비교한 무작위배정, 개방형 임상시험이다. 이 약 투여군은 선별 시의 기저치 헤모글로빈 수치와 체중을 기반으로 한 간소화된 용량 표에 따라 최대 1,000 mg 철분의 단회 투여를 받았으며, 철 사탕수수 투여군은 Ganzoni 공식에 따른 개별적으로 계산된 용량(200 mg 철분)을 누적 철분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받았다. 시험대상자들은 12주 동안 추적 관찰되었다. 12주째, 이 약을 투여받은 시험대상자(240명, 평균 누적 철분 용량: 1,414 mg)의 65.8%가 반응(헤모글로빈 수치 ≥2 g/dL 증가)을 보였으며, 철 사탕수수를 투여받은 시험대상자(235명, 평균 누적 용량: 1,207 mg)에서는 53.6%가 반응을 보였다(p=0.004). 또한, 이 약 투여군의 83.8%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2 g/dL 증가했거나 정상 범위 내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한 반면, 철 사탕수수 투여군은 75.9%로 나타났다(p=0.019).

(4) 여성 건강

산후

VIT-IV-CL-009 연구는 산후 빈혈을 앓고 있는 여성에서 이 약(n=227)과 경구 황산철(n=117)의 유효성을 비교한 무작위배정, 개방형 비열등성 임상시험이다. 시험대상자들은 Ganzoni 공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계산된 누적 철분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최대 1,000 mg 철분을 단회 투여로 이 약을 투여받거나, 하루 두 번 100 mg의 경구 황산철을 12주 동안 복용했다. 시험대상자들은 12주 동안 추적 관찰되었으며, 기준점에서 12주째까지 헤모글로빈 수치의 평균 변화는 이 약 투여군(n=179, 평균 누적 철분 용량: 1,347 mg)에서 3.37 g/dL, 황산철 그룹(n=89)에서 3.29 g/dL로 나타나 두 치료 간 비열등성이 입증되었다.

임신

정맥 주사용 철분 제제는 명확히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임신 중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이 약의 투여는 모성과 태아 모두에게 잠재적 위험보다 이점이 더 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임신 2분기와 3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임신 중 여성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는 제한적이며, FER-ASAP-2009-01 연구에서 일부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철 결핍성 빈혈을 가진 임신 2분기와 3분기의 여성에서 이 약(n=121)과 경구 황산철(n=115)을 비교한 무작위배정, 개방형 임상시험으로, 12주 동안 치료가 진행되었다. 시험대상자들은 선별 시의 기저치 헤모글로빈 수치와 체중을 기준으로 누적 철분 용량 1,000 mg 또는 1,500 mg의 이 약(평균 누적 용량: 1,029mg 철분)를 투여받았거나, 하루 두 번 100 mg의 경구 철분을 12주 동안 복용했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 발생률은 이 약 투여군(11.4%)과 경구 철분 투여군(15.3%)에서 유사하게 나타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치료 관련 이상반응은 구역, 상복부 통증 및 두통이었다. 신생아 Apgar 점수 및 신생아 철분 지표는 두 치료군 간에 유사했다.

(5) 소아 대상군

14세 이상의 소아가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4건의 임상시험에 포함되었다. 또한, 철분 결핍이 있는 1~17세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수행되었다. 철 결핍성 빈혈의 가장 흔한 병인은 위장관 질환(예: 염증성 장 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위염, 셀리악병) 및 심한 자궁 출혈이었다.

전향적 약동학/약력학 2상 임상시험(1VIT13036)에서 연령 중앙값 9.8세(범위: 1.5-17.5세)의 소아 35명을 대상으로 2회 연속 투여 코호트에서 이 약 7.5 mg 철/체중 kg(n=16) 또는 이 약 15mg 철/체중 kg(n=19)을 단일 용량으로 최대 750 mg의 철분으로 투여했다. 헤모글로빈 수치, 페리틴 및 트랜스페린 포화도는 용량에 따라 증가했다. 주사 후 35일째에 헤모글로빈 수치의 평균(SD) 증가량은 이 약 7.5 mg 철/체중 kg의 경우 1.9 (1.38) g/dL, 이 약 15 mg 철/체중 kg의 경우 2.8 (1.15) g/dL이었다.

전향적, 공개 라벨, 평행군 3상 연구(1VIT17044)에서 이 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경구 철분 요법과

비교했다. 평균 연령 14.5세(범위: 1~17세)의 소아 40명을 대상으로 7일 간격으로 체중 1kg당 15mg의 철분제인 이 약을 2회 투여했다. (최대 1회 750mg)을 7일 간격으로 2회 투여하고, 연령 중앙값 14.0세(범위: 1~17세)의 39명의 소아에게 28일 동안 경구용 황산철을 투여했다. 이 약 투여군과 경구용 황산철 투여군 모두에서 유사한 Hb 증가가 관찰되었다. 베이스라인에서 35일째까지의 헤모글로빈 수치 평균 증가량(LS 평균 [95%CI])은 이 약 투여 후 2.22 [1.69, 2.75] g/dL, 경구용 황산철 투여 후 1.92 [1.43, 2.41] g/dL이었다. 전체적으로 정맥 철분 투여 그룹 환자의 87.5%가 임상시험 종료 시점에서 1g/dL 이상의 헤모글로빈 수치의 증가를 달성했다. 철분 저장량 보충의 척도로 사용되는 페리틴과 트랜스페린 포화도의 증가는 경구용 황산철 요법에 비해 이 약 요법 후 더 높았으며, 페리틴의 기저치부터 35일째까지의 증가량(LS 평균[95%CI])은 이 약 투여 후 132.1 [105.44, 158.76] ng/mL, 경구용 황산철 투여 후 11.0 [-15.62, 37.65] ng/mL로 나타났다. 이에 상응하는 TSAT의 증가는 각각 24.3 [19.19, 29.41] % 및 8.7 [3.70, 13.63] %였다.

(6) 철분 보충 치료 후 페리틴 모니터링

연구 VIT-IV-CL-008의 제한적인 데이터에 따르면, 철분 보충 치료 후 2~4주 사이에 페리틴 수치가 빠르게 감소하며, 이후에는 더 천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페리틴 수치는 임상시험 추적 관찰 기간인 12주 동안 재치료가 필요하다고 고려될 수준까지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는 페리틴 재검사를 위한 최적 시점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지만, 보충 치료 후 4주 이전에 페리틴 수치를 평가하는 것은 이른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환자의 개별 상태를 기반으로 임상의가 페리틴 재평가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4) 독성시험 정보

(1) 안전성약리, 반복투여독성시험, 생식발생독성 및 유전독성시험의 비임상시험 결과 사람에 대하여 특이할 만한 위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임상시험 결과, 이 약으로부터 유리된 철이 태반을 통과하며 제한적이고 통제된 양이 모유로 배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충분한 양의 철을 보유한 동물을 이용한 생식발생독성시험에서 이 약은 태자에게 발생한 경미한 골격 이상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어미 독성 유발 용량에서 제한적이었다.

(3) 이 약의 잠재적인 발암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기간의 동물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4) 이 약은 유전자 돌연변이(시험관내 박테리아 및 마우스 림프종세포 시험) 및 염색체 손상(시험관내 사람 림프구 및 체내 마우스 소핵시험)에 대한 시험에서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 잠재적인 알레르기 또는 면역독성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았다. 통제된 체내 시험에서 이 약과 항-덱스트란 항체와의 교차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국소 자극이나 과민증이 정맥 투여후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