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KPIC 학술
 팜리뷰 축농증의 개요와 약물치료, 약학정보원(송영천), 2017-04-24
 팜리뷰 [안전]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안전성 정보, 약학정보원(대한약사회 지역 환자안전센터), 06 20 2023
 팜리뷰 [약물] 신기능에 따른 약물 선택 및 중재, 약학정보원(손유민 약사), 01 16 2024
대한약사저널
 비밀노트 세포벽 합성 저해 항생제, 박정빈 약사, 2022-06-27
 비밀노트 세포와 항생제, 박정빈 약사, 2022-06-13
 이슈트랜드 감염질환과 항생제 사용, 숙명여대 약학대학 김현아 교수, 2021-09-06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 기관지 천식,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용법 · 용량

복사

1일 1회, 1회 다음 용량을 가슴, 등 또는 상완부의 피부에 붙인다. 
- 6개월- 3세 미만 : 0.5mg
- 3세- 9세 미만 : 1mg
- 9세 이상 : 2mg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법적 고지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 기관지 천식,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1일 1회, 1회 다음 용량을 가슴, 등 또는 상완부의 피부에 붙인다. 
- 6개월- 3세 미만 : 0.5mg
- 3세- 9세 미만 : 1mg
- 9세 이상 : 2mg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카테콜아민제제(에피네프린, 이소프로테레놀 등)를 투여받는 환자
2)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증상들이 악화될 수 있다)
2) 고혈압 환자 (혈압이 상승할 수 있다)
3) 심질환자 (심계항진, 부정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당뇨병 환자 (당대사가 항진되고 혈중 포도당 농도가 증가할 위험이 있다)
5)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부착부위에 가려움증,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고령자 (고령자에 대한 투여 항 참조)

3. 이상반응
이 약의 승인 전 임상시험에서 총 1,002명의 환자 중 116명(11.58%)에서 152건의 이상반응이 관찰되었다. 주요 이상반응은 진전 23건(2.30%), 심계항진 17건(1.70%), 부착부위의 가려움증 34건(3.39%), 발적 25건(2.50%), 접촉성 피부염 25건(2.50%) 등 이었다.
주요 임상검사치의 변화로서 크레아티닌 포스포키나제(CPK)의 상승이 389명 중 28건(7.20%)이 발생하였으나 이로 인한 임상적인 증상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1) 중대한 이상반응
① 빈도불명의 아나필락시스 증상: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발생한 사례가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며 호흡곤란, 전신홍조, 혈관부종, 담마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② 혈청 칼륨농도의 중대한 저하: β2-아드레날린 자극제에 의해 혈청 칼륨농도의 중대한 저하가 보고되었다. 또한, β2-아드레날린 자극제에 의해 유발된 혈청 칼륨농도 감소는 크산틴 유도체, 스테로이드제 또는 이뇨제와 병용투여시 증강되므로 중증 천식환자의 경우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저산소혈증은 감소된 혈청 칼륨농도가 심장 리듬에 미치는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혈청 칼륨농도를 모니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기타 이상반응 
① 과민증: 드물게 발진과 가려움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증상이 발생한 즉시 투여를 중지한다.
② 순환기계: 때때로 심계항진, 안면홍조 등, 드물게 부정맥 등, 발생빈도가 불명확한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③ 정신신경계: 때때로 진전, 두통, 전신권태감, 불면 등, 드물게 열감,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④ 소화기계: 때때로 오심, 구토,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등, 드물게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⑤ 피부: 때때로 부착부위에 가려움증, 발적, 접촉성 피부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⑥ 기타: 크레아티닌 포스포키나제의 상승(5% 이상), 때때로 구갈, 혈청 칼륨농도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기관지 천식환자의 기도 염증을 치료하는 치료제가 아니다. 환자의 증상에 따라 스테로이드제, 테오필린제제 등과 병용투여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이 약의 용법·용량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해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1주 내지 2주 정도) 본제가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사용을 중지한다. 
3) 영유아 및 소아에 사용시 사용법을 정확히 지도하고 치료기간 동안 경과를 면밀히 관찰한다. 
4) 이 약의 용법·용량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시 부정맥, 경우에 따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법·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 등의 주의를 한다.

5. 상호작용
1) 이 약과 에피네프린, 이소프로테레놀 등의 카테콜아민류는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부정맥, 경우에 따라서는 심정지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병용투여 하지 않아야 한다. 
2) 이 약과 테오필린, 아미노필린, 디프로필린 등과 같은 크산틴 유도체는 세포내로의 칼륨흡수를 유발하므로 병용투여시 저칼륨혈증으로 인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하이드로코티손 등과 같은 스테로이드제와 트리클로메티아지드, 푸로세마이드, 아세타졸아마이드 등과 같은 이뇨제는 뇨에서 칼륨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이 약과 병용투여시 저칼륨혈증으로 인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의 임신중 사용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이 약 투여로 인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동물실험(랫트)에서 이 약이 모유 중으로 이행됨이 보고되었으므로 수유부의 경우 이 약의 투여를 피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 이 약의 6개월 미만 유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사용 경험 없음)
2) 이 약의 소아에 대한 장기간 투여시의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사용 경험 없음)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저용량부터 투여를 시작하는 등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9. 적용상의 주의
1) 부착부위를 깨끗이 닦은 후 이 약을 붙인다.
2) 피부 자극을 피하기 위해 이 약의 부착부위를 매일 바꾸는 것이 권장된다. 
3) 이 약을 떼어 낼 가능성이 있는 소아는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 붙이는 것이 권장된다.
4) 동물시험(랫트)에서 이 약을 손상된 피부에 붙이는 경우 이 약의 혈중 농도 증가가 확인되었으므로 이 약을 손상된 피부에 붙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