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699900020 - 11원/10L 급여(2022-09-01)
 - 9원/10L 급여(2022-05-28)
 - 10원/10l 급여(2020-03-23)
 - 9원/10l 급여(2020-01-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 의료용가스

-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질환에서의 산소결핍증 치료

· 호흡근의 마비

· 일산화탄소 중독

· 출혈, 외상, 쇼크

· 마취 시의 호흡마비

· 중증의 심질환(순환계 허탈 등)

· 폐부종 등으로 인한 기도의 폐쇄

- 폐쇄 순환 마취 시 단독 투여 또는 이산화탄소와 병용투여

용법 · 용량

복사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량 사용한다.

보통 40-100%농도에서 비강캐뉼라 또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흡입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 의료용가스

-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질환에서의 산소결핍증 치료

· 호흡근의 마비

· 일산화탄소 중독

· 출혈, 외상, 쇼크

· 마취 시의 호흡마비

· 중증의 심질환(순환계 허탈 등)

· 폐부종 등으로 인한 기도의 폐쇄

- 폐쇄 순환 마취 시 단독 투여 또는 이산화탄소와 병용투여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량 사용한다.

보통 40-100%농도에서 비강캐뉼라 또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흡입한다.

1. 다음 경우는 신중히 사용할 것.

1) 호흡에 곤란을 느끼는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사용할 때 호흡 억제를 유발시키므로 신중히 사용할 것.

2. 부작용

1) 고농도(40%이상)의 산소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폐상피를 손상할 수 있고 결국 폐수종이나 일반적인 폐확장 부전증으로 된다.

2) 50%이상의 고농도로 치료한 미숙아에서 수정체후면의 섬유증식증이 나타난다.

3) 1 1/2기압 이상의 고압산소는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4) 호흡곤란 환자에 고농도의 산소를 사용할 때 호흡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

5) 고농도의 산소를 계속 사용할 때(100%산소, 3-30시간) 흉통, 기침, 호흡곤란증과 같은 폐성자극 및 심각한 폐성합병증(폐활량감소, 사강의 증의증)이 일어난다.

6) 산소농도 50%이하에서도 산소흡입초기에 대식세포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7) 산소흡입시 이산화탄소의 잔류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혼수, 환각, 부위감각 상실등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3. 일반적 주의

1) 계속적으로 사용할 때는 저농도의 산소를 사용할 것.

2) 고농도의 산소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말 것.

3) 일산화탄소 중독의 무산소혈증에 대하여 주의할 것은 탄산가스 과잉 때문에 탄산가스에 대한 호흡중추의 감수성이 가히 저하된 호흡 "아시도시스"의 환자에 고농도의 산소를 급속히 흡입하면 호흡 중추는 강하게 억제되므로 저농도의 산소흡입으로 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4) 산소의 농도는 저산소증을 치료하는 데 요구되는 농도를 초과하지 말 것.

5) 미숙아에게 산소를 적용할 때 산소의 농도는 40%를 초과하면 안된다.

4. 적용상의 주의

1) 고농도의 산소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화기나 전기적 장치의 사용을 피할 것.

2) 산소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흡연을 금할 것.

3) 사용시 불에 주의할 것.

4) 점막을 건조시키므로 적당한 습윤기구나 초음파 분무기를 사용하면 이런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5) 산소공급장치를 포함 습윤기구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용기구는 적절히 소독할 것.

5. 기 타

호흡성 아시도시스에는 호흡촉진약 또는 중간산염의 배설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탄산탈수효소저해약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