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 상세정보
정보 수정요청성분명 | 리바비린 (Ribavirin) |
분자식 : C8H12N4O5 분자량 : 244.21 |
---|---|---|
동의어 |
|
|
작용기전 | [Tribavirin(Ribavirin)]
<전신용, 구강 흡입용> RNA 와 DNA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함.; 인플루엔자 바리어스 RNA polymerase 활성을 억제하고 RNA 조각의 개시(initiation) 및 신장(elongation)을 억제하여 바이러스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 |
|
약동학 | [Tribavirin(Ribavirin)]
<전신용> - 분포: 경구 캡슐: 단회 투여: Vd: 2,825 L; 분포는 적혈구에서 크게 연장되며(16-40일), 이는 세포내 대사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 - 단백결합률: 경구: 없음. - 대사: 간대사 및 세포내대사를 통해 활성 대사체를 생성함.; 약물 작용을 위해 필요할 수 있음. - 생체이용률: 경구: 64% - 반감기: 혈장: 성인: 경구: 캡슐제, 단회 투여: 정상 성인에서 24시간, 만성 C형 간염환자에서 44시간(정상[steady state] 상태에서 ~298시간까지 증가됨.) 정제, 단회 투여: ~120-170시간 - 최대혈청농도 도달시간: 경구 캡슐제: 반복 투여: 3-16 어린이 및 청소년: ~2시간; 성인: 3시간; 정제: 2시간 - 배설: 경구 캡슐제: 소변(61%), 대변(12%) <구강 흡입용> - 흡수: 흡입: 전신 흡수; 호흡 인자와 약물 수송 방법에 의존적임.; 최대 흡수는 기관내 관(endotracheal tube )을 통한 에어로솔 발생기 사용 시 발생함.; 호흡기 관과 적혈구에서 농도가 가장 높음. - 대사: 세포내 대사가 발생하며 약물 작용에 필요할 수 있음.; 간에서 활성 대사체인 deribosylated ribavirin로 대사됨. - 생체이용률: 경구: 64% - 반감기: 흐흡기관 분비물: 6주-7세 유아 및 어린이: ~2시간 혈장: 유아 및 어린이: 흡입: 9.5시간 - 최대혈청농도 도달시간: 흡입: 흡입기간 끝부분에서 도달됨. - 배설: 흡입: 소변(미변화체와 대사체로 40%) |
※ 이상반응, 금기, 주의사항, 상호작용 등의 정보는 개별 의약품의 허가정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