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2025-10-13
[Social Pharmacy]제약바이오 산업 현장수요에 기반한 약사교육의 정책적 시사점
제약바이오 산업의 직무별 교육수요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약사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현장에서는 GMP와 인허가와 같은 규제·품질관리 분야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꾸준히 확인되었는데, 이는 약사들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는 영역과 직결되며, 더 나아가 사업개발·마케팅·글로벌 전략과 같은 전략적 직무에 대한 수요가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어, 약사교육에서도 새로운 방향 모색이 요구된다. 특히 교육 수준별 수요를 보면, 경력 3년 이하의 기본 수준 인력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 직무 초기나 현장 적응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역량교육이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기본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산업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심화·전략 단계까지 아우르는 교육이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이러한 제약바이오 현장의 교육수요 분석은 약사교육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재정립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NEW2025-09-29
2025년 대한민국 항생제 스튜어드십의 현황과 미래-영국 사례를 통한 약사 역할의 재조명
본문은 '조용한 펜데믹'으로 불리는 항생제 내성(AMR)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인 항생제 스튜어드십(ASP)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2025년 현재, 대한민국 ASP의 성과가 병원 중심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지역사회 단위 관리 체계의 공백이라는 한계를 지적한다. 특히 성분명 처방, 전자의무기록 공유, 백신 접종 및 경증 질환 처방 등 지역사회 약사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약사를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의 핵심 파트너로 삼는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 청사진을 제안하고자 한다.
- NEW2025-09-12
[Pharmacotherapy Today]2024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 항생제 사용 지침
다제내성균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최근 큰 주목을 받는 것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ales, CRE)이다. CRE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인 imipenem, meropenem, doripenem, ertapenem 중
- NEW2025-08-25
[Pharmacotherapy Today]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연쇄 처방
우리나라는 2024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18.7%를 차지하며,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만성질환을 여러 개 동시에 가진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다약제(polypharmacy) 처방이 보편화되고 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