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2025-10-27
[Pharmacotherapy Today] 영유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는 영유아에서 세기관지염과 폐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하기도 감염의 원인으로,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는 중증화 위험이 높다. 특히 매년 가을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산후조리원이나 어린이집 등에서 집단 감염이 빈번히 발생해 지역사회 내 확산과 입원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RSV 감염의 치료는 대증요법이 중심이며,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어 예방 중심의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2024년 국내에 새롭게 도입된 단일클론항체 nirsevimab은 대상 확대와 투여 편의성이 개선된 약제로, 해외에서는 국가예방접종프로그램(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에 도입되며 RSV 예방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RSV 감염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및 예방 전략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NEW2025-10-13
[Social Pharmacy]제약바이오 산업 현장수요에 기반한 약사교육의 정책적 시사점
제약바이오 산업의 직무별 교육수요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약사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현장에서는 GMP와 인허가와 같은 규제·품질관리 분야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꾸준히 확인되었는데, 이는 약사들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는 영역과 직결되며, 더 나아가 사업개발·마케팅·글로벌 전략과 같은 전략적 직무에 대한 수요가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어, 약사교육에서도 새로운 방향 모색이 요구된다. 특히 교육 수준별 수요를 보면, 경력 3년 이하의 기본 수준 인력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 직무 초기나 현장 적응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역량교육이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기본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산업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심화·전략 단계까지 아우르는 교육이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이러한 제약바이오 현장의 교육수요 분석은 약사교육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재정립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NEW2025-09-29
2025년 대한민국 항생제 스튜어드십의 현황과 미래-영국 사례를 통한 약사 역할의 재조명
본문은 '조용한 펜데믹'으로 불리는 항생제 내성(AMR)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인 항생제 스튜어드십(ASP)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2025년 현재, 대한민국 ASP의 성과가 병원 중심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지역사회 단위 관리 체계의 공백이라는 한계를 지적한다. 특히 성분명 처방, 전자의무기록 공유, 백신 접종 및 경증 질환 처방 등 지역사회 약사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약사를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의 핵심 파트너로 삼는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 청사진을 제안하고자 한다.
- NEW2025-09-12
[Pharmacotherapy Today]2024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 항생제 사용 지침
다제내성균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최근 큰 주목을 받는 것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ales, CRE)이다. CRE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인 imipenem, meropenem, doripenem, ertapenem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