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구충(驅蟲)
해설 살충(殺蟲)이라고도 함.
기생충을 없애는 약물을 써서 인체 내부의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회충(蛔蟲)에는 사군자(使君子), 빈랑(檳 ), 고련근피(苦 根皮:사용시에 겉의 껍질은 제거한다. 이 약은 독성이 있으므로 많이 써서는 안된다). 자고채( 菜), 신류피(神榴皮), 뇌환(雷丸:이 약은 가루를 내어 쓴다.) 비자(榧子)등을 선택하여 쓴다. 촌백충(寸白蟲)에는 빈랑(檳 ), 남과자(南瓜子:호박), 선학초근(仙鶴草根), 뇌환(雷丸), 비자(榧子), 아담자(鴉膽子), 사태(蛇 :뱀의 허물)등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요충(蟯蟲)에는 비자(榧子), 뇌환(雷丸), 무이(蕪荑), 사군자(使君子), 대산(大蒜), 고련지피(苦 枝皮), 빈랑(檳 ), 백부(百部)등을 선택하여 쓴다. 십이지장충(十二指腸蟲)에는 뇌환(雷丸), 비자(榧子), 고련근피(苦 根皮), 빈랑(檳 ), 토형개(土荊芥)등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어떤 약물은 비록 살충작용은 없으나 어떤 기생충병에 대하여 치료 작용이 있다. 예를 들면, 담도회충병(膽道蛔蟲病)이 발작할때 오매(烏梅) 10개를 달여 그 즙(汁)을 마시거나, 식초 반잔 또는 한잔 정도를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면 좋다.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