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현벽( 癖)
해설 적취의 하나. 배꼽부위와 옆구리에 덩이가 생긴것을 통틀어 말한다.

대개 음식조절을 잘못하여 비위(脾胃)가 손상되었거나 한담(寒痰), 기혈(氣血)이 몰려서 생긴다. "현( )"과 "벽(癖)"은 같지 않다.
《東醫寶鑑》에는 현( )은 배꼽의 양 옆에 막대기나 손가락 또는 활줄(활시위)같은 모양의 줄이 생겨서 켕기고 아픈 것이며, 벽(癖)은 양 옆구리에 치우쳐 생겨 평상시에는 만져지지 않다가 통증이 있을 때는 딴딴한 덩이가 느껴지는 것이라 하였다.
옛 사람들은 식벽(食癖), 음벽(飮癖), 한벽(寒癖), 담벽(痰癖)등 여러종류로 나누었다.

적(積)을 삭이면서 기혈(氣血)을 잘 돌게 하는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옆구리 밑이 그득하고 괴로우며, 식욕이 없고 팔다리가 여위며 약해진 때는 목향환(木香丸)을 쓰며, 찬기운(寒氣)이 치밀어 올라 명치 아래가 칼로 후비는 듯한 통증이 있는데는 오두환[烏頭丸:오두(烏頭), 인삼(人蔘), 부자(附子), 건강(乾薑), 주사(朱砂), 적석지(赤石脂), 계심(桂心)]을 쓰고, 덩이가 삭아지지 않아 몸이 여위며 얼굴빛이 누렇게 병색(病色)이 나는데는 별갑환[鱉甲丸:대황(大黃), 진피(陳皮), 삼릉(三稜), 별갑(鱉甲)]을 쓴다.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