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허자보기모(虛者補其母)
해설 《難經·六十九難》에서 나옴. 오행상생(五行相生)과 오장모자(五臟母子)관계의 이론을 운용하여 오장(五臟)의 허증(虛證)을 치료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신(腎)은 간(肝)의 모(母)가 되는 간허증(肝虛證)은 간(肝)을 자양(滋養)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신(腎)을 보양(補養)하며 또한 간에 허화(虛火)가 있어 잠을 이루지 못하고 초조하며, 쉽게 배가 고프고 얼굴이 벌개지며, 맥(脈)이 가야금 줄처럼 팽팽하면서 가늘고 빠르게 뛰는 데 힘있게 누르면 뚜렷하지 않은 경우는 치료시에 신수(腎水)를 자양(滋養)하므로써 간(肝)의 허화(虛火)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을 쓴다.

침구요법(鍼灸療法)에서도 이러한 허증에는 그 소속된 모경(母經) 또는 모혈(母穴)을 보(補)하니 예를 들면, 간허증(肝虛證)에는 신경(腎經)의 합혈(合穴)인 음곡혈(陰谷穴) 또는 간경(肝經)의 합혈(合穴)인 곡천혈(曲泉穴)을 취하여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