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
고온조습(高溫燥濕) |
해설 |
1) 조습법(燥濕法)의 하나.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苦溫藥)으로 중초의 한습을 없애는 방법. 중초(中焦)의 한습(寒濕)이 몰려 있으면 가슴이 답답하고 헛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오면서 속이 메스껍고 토하며, 대변이 묽고, 희고 기름기가 도는 설태(舌苔)가 끼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경우에는 고온조습법(苦溫燥濕法)으로 후박(厚朴), 반하(半夏), 백구인(白 仁), 복령(茯 ), 창출(蒼朮)같은 약을 쓰는 것 등이다.
2)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습(濕)을 없앤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