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의방유취(醫方類聚)
해설 책명. 365권.
근세 조선의 김예몽(金禮蒙)등이 1443년에 저술한 것으로 1465년에 처음 간행됨.

원본(原本)은 이미 없어져버렸고, 1861년에 일본에서 활자(活字)로 266권을 인쇄하였다. 이책은 약 150여종의 한·중 고대 의학서적을 분류 정리하였다.
권 1~3은 의학총론, 권 4~12는 오장제론(五臟諸論), 권 13~63은 풍(風), 한(寒), 서(暑), 습(濕) 및 상한(傷寒)의 증치(證治), 권 64~82는 눈(眼), 치아(齒牙), 인후(咽喉), 구설(口舌), 귀(耳), 코(鼻), 두면질환(頭面疾患)의 증치(證治), 권 83~168은 신형(身形), 장부(臟腑), 내과잡병(內科雜病)의 증치(證治), 및 중오(中惡), 해독(解毒), 충수상(蟲獸傷)등, 권 169~205는 피부, 외과제병(外科諸病) 및 급구(急救), 양생(養生)등, 권 206~238은 산부제병(産婦諸病), 권 239~266은 소아제병(小兒諸病)의 증치(證治)로 되어 있다. 전서(全書)의 분류가 비교적 자세하고 자료가 풍부하며, 아울러 대부분 원문(原文)을 집록(輯錄)했기 때문에 중국 명대(明代)이전에 실전(失傳)된 많은 의학서적을 보존하고 있다. 이는 방대(尨大)한 의학류서(醫學類書)로서 대단한 학술적, 임상적 가치가 있다.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