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
온조(溫燥) |
해설 |
가을철에 비가 내리지 않아 가물어서 조기(燥氣)를 받아 발병한다. 즉 열(熱)에 치우친 조기(燥氣)이다.
임상상으로 처음에는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마른 기침을 하고 가래가 없으며, 숨이 차고 목구멍이 마르며 통증이 있고(氣喘咽乾痛), 코와 입술이 마르며(鼻脣乾),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며, 마음이 초조하고 갈증이 나며, 설태(舌苔)가 엷게 끼고 희며 건조하고, 혀끝과 주변이 붉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폐(肺)가 온조(溫燥)의 사(邪)를 받아 진액(津液)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