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동의보감(東醫寶鑑)
해설 중국과 우리나라 의학서적들을 한데 모아 편찬한 조선시대의 으뜸가는 의서(醫書).

조선 14대 선조(宣祖) 30年(1597) 허준(許浚)이 왕명으로 편집에 착수, 15대 광해군(光海君) 3年(1611)에 완성.
전서(全書)를 내경편(內景篇),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탕액편(湯液篇), 침구편(鍼灸篇)의 다섯종류로 나누어, 각 종류를 세목(細目)으로 상세히 나누어서 여러가지 병증(病證)의 증후, 병의 원인, 치료방법등의 내용을 기술함. 그 중 탕액편은 본초(本草)를 논술(論述)하고, 침구편은 침구법(鍼灸法)과 경락수혈(經絡 穴)을 소개함. 이책의 내용은 광범위하고 조리가 있으며, 한국의 의가(醫家)가 찬집(纂輯)한 한방의학서적중 가장 유명하다.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