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귀경(歸經)
해설 약물의 작용을 장부경락의 병리 변화에 대해 일정한 치료작용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하는 것을 귀경(歸經)이라한다.
즉 약물이 몸 전체에 고루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정한 장부경락에 선택적으로 치료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예를 들면 길경(桔梗), 행인(杏仁), 관동화(款冬花) 등과 같이 기침이 나고 숨이 가쁜 증상을 치료하는 한약은 폐경(肺經)에 작용하고, 산조인(酸棗仁), 영사(靈砂)와 같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잠을 이루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물은 심경(心經)에 작용하며, 구인(?蚓), 오공(蜈蚣), 천마(天麻), 전갈(全蝎), 영양각(羚羊角)등과 같이 경련(痙攣)을 치료하는 한약은 간경(肝經)에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귀경이란 치료효과를 관찰한 후에 내려진 종합적인 결론이다. 하나의 약물이 2경(經)또는 여러 경(經)에 작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치료범위가 비교적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예를 들면, 행인(杏仁)은 폐경(肺經)과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하여 폐경의 기침과 대장경의 대변이 굳는 증상을 치료하며, 택사(澤瀉)는 신(腎), 방광(膀胱), 삼초(三焦)에 작용하여 이러한 곳들에 수습(水濕)이 몰려있는 병증엔 택사(澤瀉)를 쓴다.

※ 법적 고시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