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은시호 銀柴胡 |
|
---|---|---|
생약명 | Gypsophilae Radix | |
分類 | 淸虛熱藥 | |
主要 成分 | :triterpenoid, saponins, gypsogenin. | |
基源 | 石竹科(석죽과;Caryophyllaceae)의 식물인 長蘂絲石竹(대나물;Gypsophila oldhamiana Miq.)의 根. | |
性味·歸經 | 性味 : 甘, 微寒. 歸經 : |
|
效 能 | 退虛熱 - 陰虛發熱 骨蒸勞熱
除疳熱 - 小兒疳熱 |
|
主 治 | 虛勞骨蒸, 陰虛久학, 小兒疳積. | |
處 方 例 | 청골산 | |
用量·用法 | 3-9g | |
禁 忌 | 풍한에 외감되거나 혈허로 열이 나지 않을 때는 쓰지않는 것이 좋다. | |
藥理 作用 | ||
應 用 | 1. 銀柴胡의 虛熱을 치료하는 작용은 柴胡의 實熱치료와는 다르다. 虛熱證의 치료에 널리 쓰며 주로 鱉甲 . 地骨皮 . 知母 등과 같이 쓰면 좋다.
2. 肺結核의 微熱은 勞熱骨蒸이라 부른다. 이것에는 地骨皮 . 沙蔘 . 石斛 . 鱉甲 . 牡蠣 . 菁蒿와 같이 쓰면 좋다. 潮熱은 肺結核의 장기화로 체액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虛熱이므로 補陰의 약물을 사용하여 체력증강을 꾀하고 체력이 회복되면 微熱도 없어지므로 장기간 복용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3. 소아가 더위를 먹어 오후만 되면 미열이 나고 얼굴이 어둡게 보이며, 혀가 심하게 건조하고 점차로 몸이 야윔과 동시에 목덜미에 멍울이 잡히고 밤에 盜汗이 심하게 날 때는 黃耆 . 黨蔘 . 山藥 . 白朮 . 鷄內金 . 麥芽 . 浮小麥 . 胡黃連과 같이 쓰면 체력을 증강하고 虛弱症狀을 감퇴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小兒의 微熱이 장기화되어 여름만이 아니라 겨울에도 위와 같은 증상을 보일 때는 人蔘을 加하여 체력을 더욱 증강할 필요가 있다. 5. 壯年으로 체력이 떨어지고 微熱이 있으나 그 시간은 일정하지 않을 때 地骨皮 . 鱉甲 . 人蔘 . 沙蔘과 같이 복용하면 효과가 좋다. 6. 학질을 치료할 수는 없지만 학질의 발작이 반복되어 체력이 떨어지고 潮熱이 보이면 地骨皮 . 黨蔘 . 黃耆와 같이 써서 체력의 증강을 도모하면 좋아진다. 7. 風濕病으로 微熱이 계속되고 관절이 아프며 가볍게 붓는 증상을 보이면 진교 . 防己 . 木瓜 . 五加皮와 같이 쓰면 風濕과 虛熱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8. 淸疳熱할 수 있으므로 小兒의 積發熱 . 腹大 . 瘦瘠 . 口渴 . 眼紅 등 肝疳의 증상에 梔子 . 黃芩 . 黨蔘과 같이 쓴다. |
|
修治 | ||
參考 | 柴胡는 외감발열에 銀柴胡는 陰虛潮熱에 효과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