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반하백출천마탕 半夏白朮天麻湯
出 典 醫學心悟
分 類 祛痰劑 -溫化寒痰
造 成 반하 4.5g, 진피, 복령 , 백출, 천마 각 3g, 감초(炙) 1.5g
用 法 생강 1片, 대추 2 枚를 넣고 물로 달여 복용한다.
效 能 補脾燥濕 化痰熄風
適 應 症 풍담(風痰)으로 인한 현운(眩暈)과 두통, 그리고 메스껍고 구토하는데 쓴다.
解 說 본방은 祛痰劑로 분류되며 평소 위장이 약한 사람이 위내에 정수가 있고, 외감이나 정신적인 쇼크, 또는 식사의 불섭생 등으로 인하여 위내의 痰飮이 동요하여 상역하여 두통과 어지러움증, 구토증을 일으킨 자에게 사용한다. 이러한 상황은 비의 기허로 인하여 생긴 痰飮이 상역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즉 본래 소화흡수의 기능이 약하고 또 전신의 기능이나 대사의 기능이 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식욕이 부진하고, 원기가 없고, 피로하기 쉬우며 흉복부에 팽만감이 있어서 괴로워 한다. 또 대변은 泥狀便이나 水樣便이 되어 나오기도 한다. 또 한편 수분의 흡수와 배설이 제대로 잘 되지 않아 위내에 溜飮이 생기기도 하고, 또 조직내에 수분이 정체하여 부종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內耳의 부종이나 뇌에 생긴 가벼운 부종 등이 관여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은 痰飮이 신체의 상부에 울체하여 실조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을 痰濁이라고 한다. 이 痰濁이 신체의 상부로 치올라가서 동요하면 머리가 어지럽고 무거우며, 심하면 회전성의 어지러움증을 일으켜서 서있거나 걸음을 걸을 수 없게 된다. 어지러움증은 여러 가지 상태로 나타나는데 가벼울 때에는 몸이 흔들려서 서있지 못하기도 하고, 앉았다 누웠다 하면 빙빙 돌기도 하며, 또 발작적으로 심할 때에는 눈을 뜨거나 몸을 움직이거나 말을 할 때에도 어지러워서 하늘과 땅이 뒤집히는 것 같다고 한다. 또 구름위에 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뱃멀미를 하는 것과 같이 구역이 나기도 한다. 또 식욕부진 . 피로 . 足冷 . 견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럴 때 일어나는 두통을 痰厥頭痛이라 하며 본방이 대표처방이다.
본방은 어지러움증과 頭痛, 嘔吐의 세 가지의 증상이 주가 되는 것이다. 구토는 묽은물이나 점액을 토하기도 하고, 건구역이 나서 그윽그윽 소리만 나는 경우도 있다. 두통은 眉稜骨에서 聽門의 부위에서 현저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본방이 적응하는 환자는 대체로 여윈 편이고 빈혈성으로 맥이나 배가 모두 연약하고 심하부에 비만감이 있다고 호소하는 경우이다.
원래 원전인 의학심오에 나오는 처방보다는 이동원의 비위론에 나온 처방을 더 많이 쓴다. 처방의 내용은 半夏 陳皮 麥芽各6.0 白朮 神曲各4.0 蒼朮 人蔘 黃耆 天麻 茯笭 澤瀉各2.0 乾姜1.5 黃栢1.0 生姜5이다. 아래의 내용은 주로 비위론의 처방에 관한 설명이다.
위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려면 우선 비위를 보하고, 정체한 담음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방(비위론방)은 비위허약을 보하는 六君子湯을 기본으로 하고 위내정수(水毒)을 배제하는 茯笭 . 蒼朮 . 白朮 . 半夏 . 陳皮가 주가 된다. 이에 위무력을 보강하는 人蔘 . 黃耆와, 소화력을 돕는 神曲 . 麥芽, 위한냉을 가온하는 乾姜 . 生姜이 들어 있어 본방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런 비위허약자의 수독(痰飮)이 어떤 자극으로 발작동요되면 풍이 발생하여 본방증의 두통 . 현훈이 되는 것이다.
이상의 관계가 만병회춘에 다음과 같이 잘 요약되어 있다. [膽厥頭痛, 眼黑頭旋, 惡心煩悶, 氣短促上喘, 無力言語, 心神顚倒, 目不敢開, 如在風雲中 頭苦痛如裂, 身重如山, 四肢厥冷, 不得安臥, 此爲乃 胃氣損 停痰致也(담궐두통은 눈앞이 깜깜하고 머리가 흔들거리며 오심번민하고 호흡이 가쁘고 숨이 차며, 말에 힘이 없고 심신이 뒤집혀서 감히 눈을 뜨지 않으려 하고 구름위에 둥둥 떠있는 기분이며 머리가 찢어지는 듯이 아프고 몸이 산처럼 무거우며 사지의 끝이 냉하여 편히 누워있을 수가 없는데 이것은 위기가 부족하고 담이 쌓인 때문이다)].
또 이동원의 비위론에는 [痰厥의 두통은 눈이 캄캄하고 머리가 빙빙돌고, 속이 메슥 메슥하여 번민하고, 기가 短促하여 숨이 가쁘고(喘), 사람과 더불어 이야기 할 때 심신이 顚倒하고, 눈이 감겨 뜨이지 않으며, 風雲의 가운데에 있는 것 같다. 머리가 아파서 쪼개지는 것 같고, 몸이 무겁기가 산과 같으며, 사지가 厥冷하여 편안히 누워있지 못한다. 이것은 胃의 기가 허손하고 停痰으로 인한 때문이다]라 하였고, 勿誤藥室方函口訣에는 [본방은 痰飮頭痛이 목적이다. 그 사람이 비위가 허약하고 濁飮이 상역하여 항상 두통으로 괴로워하는 자는 이 처방이 주치한다. ….. 대개 이 처방은 식후에 흉중이 熱悶하고, 수족이 권태로우며, 두통이 있고, 잠을 자려고 하는 자에게 효과가 있다. 또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의 어지러움증에 사용한다. 다만 足冷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본방의 主藥은 半夏(辛平)와 天麻(甘平)이다. 和胃止嘔 . 燥濕化痰의 半夏는 구토를 가라앉힌다. 또 眼壓을 하강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內耳의 수독으로 인한 부종을 제거한다. 熄風鎭痙의 天麻는 肝經으로 들어가 風을 다스리고 風에 의해서 동요되어 흔들거리는 것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어 古人은 예로부터 定風草라 부르고 眩暈발작에 주약으로 썼다. 天麻는 釣鉤藤과 비교가 잘 된다. 양자의 효능은 비슷하나, 天麻는 甘平溫하고 燥하여 풍한담습(痰飮)에 의한 두통과 현훈에 쓰고, 釣鉤藤은 甘寒하여 열성 두통현훈에 쓴다. 보기건비의 人蔘 . 黃耆 . 白朮 . 茯笭은 전신의 기능이나 대사를 촉진하여 痰飮을 일으키는 근본원인을 개선한다. 苦辛溫의 蒼朮은 풍습을 제거하는 燥濕健脾藥이고, 감온의 白朮은 보중익기하는 燥濕利水藥이다. 蒼朮은 성미가 辛烈하여 燥散의 성질이 강하고 보익력은 약하다. 단 白朮은 微辛苦한 감미가 있고 발산력은 약하여 비위를 보익하는 건비약이다. 또 白朮 . 茯笭 . 澤瀉 . 蒼朮은 소화관이나 조직의 잉여수분을 혈중에 끌어들여 이뇨로 제거하며, 蒼朮 . 陳皮는 건위에 의해 식
욕을 돋구고 半夏 . 陳皮는 연동을 조정한다. 신열의 乾姜은 溫中逐寒작용으로 腹腔內의 혈행을 촉진하고 흡수를 강화하며, 生姜과 함께 腹腔內의 寒冷을 따뜻하게 하고 구토를 진정시킨다. 苦寒의 黃栢은 健胃에 보조적으로 작용하고 他藥의 온성이나 痰濕의 화열을 寒性으로 조정하며, 澤瀉와 함께 腎 . 膀胱의 열을 끄고, 水毒을 尿로 유도한다. 消導의 神曲 과 麥芽는 소화흡수를 강화 식욕을 돋구는데 보조적으로 가해진 것으로 [標]와 [本]을 함께 개선하는 처방이다.
본방과 제일 비슷한 처방은 吳茱萸湯이며, 그 감별은 吳茱萸湯은 嘔氣가 심하고, 煩躁 . 上衝이 있고, 腹部에 약간 힘이 있으며, 水毒症狀이 심한 등의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방은 소화흡수의 전신기능 . 대사를 촉진하여, 담음의 근본원인을 개선하면서 利水로 頭眩 . 구토발작의 원인인 담음(水毒)을 제거한다. 이상은 비위론에 있는 처방의 설명이고 의학심오의 처방은 二陳湯에 건비이수의 白朮과 熄風의 天麻 및 大棗를 가한 것으로 脾胃論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은 효능을 가지나 보기건비 . 이수의 효능이 강하지 않으므로 비위기허의 증후가 뚜렷치 않을 때 쓰면 좋다.

- 비위(脾胃)의 내상(內傷) 때문에 습탁(濕濁)이 뭉쳐서 담(痰)이 되고, 이로 인하여 허풍(虛風)이 상역하여 현운두통(眩暈頭痛)을 다스리는 처방이다.
- 이 때에는 건비(健脾)하여 습을 없애고 담을 제거하여 풍(風)을 가라 앉 히는 방법을 쓴다.
☞ 이진탕 + 천마 : 거담(祛痰), 식풍 (熄風)
☞ 백출 : 보비, 조습
☞ 생강, 대추 : 익비(益脾), 조화영위(調和營衛)

- 비위론(脾胃論)에는 '족태음두통(足太陰頭痛)은 반하가 아니고는 치료할 수 없고, 눈앞이 깜깜하고 머리가 휘둘리면 이는 허풍(虛風)으로 인한 것인데 천마가 아니고는 제거할 수 없다'고 되어 있다.
- 메니엘씨증후군에도 사용
臨 床 - 심한 두통 : 만형자
- 심한 현운 : 백강잠, 남성
- 냉(冷) : 오수유를 가한 다음 건강을 증량하던지 오수유탕을 합방한다.
參 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