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대방풍탕 大防風湯
出 典 和劑局方
分 類 祛濕劑 -祛除風濕
造 成 熟地黃 4.5g, 白朮. 防風. 當歸. 白芍藥. 杜仲, 黃기 各 3g, 附子, 川芎, 牛膝, 羌活, 人蔘, 甘草(炙) 各 1.5g
用 法 생강, 대추를 넣어 달인후 찌꺼기를 버리고 식전 공복에 온복(溫服)한다.
效 能 祛風濕 强筋骨 補益氣
適 應 症 거풍순기(祛風順氣)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하며 근골(筋骨)을 건장하게하고, 한습(寒濕)과 냉기(冷氣)를 없앤다.
또한 설사를 한후에 다리가 아프고 마비감이 있으며 약해져서 걸을 수 없는 소위 풍리(風痢)를 치료한다. 혹은 양무릎이 붓고 아프며 다리 정강이가 여위어 가죽과 뼈만 남아 있고 당기 고 경련이 일어나 일어나지 못하며 굴신할 수 없는 소위 학슬풍(鶴膝風)에 복용하면 기혈(氣血)이 잘 흐르고 통하며 기육(肌肉)이 점점 생겨나 옛날 처럼 다시 걸을수 있게 된다.
解 說 본방은 祛濕劑로 분류되며 獨活寄生湯과 거의 같으나 거풍습보다는 보익에 중점을 둔 처방으로 만성적으로 경과하여 허상을 띠고 빈혈기미가 된 하지의 운동마비와 동통에 쓴다.
본방은 祛風함으로써 기혈을 순환하여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제거하여 냉기를 몰아내는 효능이 있다. 본방은 거풍습의 防風 . 羌活에 氣血雙補의 八珍湯去茯笭과 黃耆, 補肝腎 . 강근골의 杜沖 . 牛膝, 溫裏去寒의 附子, 和胃의 大棗 . 生姜으로 구성되었다. 羌活 . 防風은 진통 . 발한작용을 가진다. 熟地黃 . 白芍 . 當歸 . 杜沖은 자양강장작용으로 근골을 보한다.
수수께기 놀이에서 [마를수록 더 무거워지는 것은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그것은 노인의 다리다]라고 알아 맞춘다. 노인이 되면 기혈이 쇠약하여 몸이 여위고, 다리에 힘이 빠져서 무거워지기 때문에 보행이 불편해진다. 그래서 걸음걸이가 둔하여 곧 쓰러질 듯이 불안한 느낌을 준다. 사람은 장년기를 지나 노년기가 되며, 대개 다리에 힘이 없어져서 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때로는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방을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본방이 적응하는 병태는 체력이 쇠약하고 빈혈성을 띠고 있으며, 또 영양이 좋지 못하여 많이 여위어 있는 자인데, 주로 하지의 운동장애가 생겨서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고, 관절이 굳어져서 굴신이 곤란하고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이다.
특히 허벅다리와 종아리는 살이 빠져서 가늘어져 있는데, 다만 무릎의 관절이 크게 부어서 보행이 불편하고, 또 하지에 마비감이 생겨서 마치 중풍증이 걸린 것 같이 보이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태는 학의 다리와 같은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한방에서는 鶴膝風이라고 한다. 그리고 통증은 야간에 더욱 심하고, 또 날씨가 한냉하거나 냉한 방에 거처하면 심하여 진다.
《梧竹樓方函口訣》에서는 [본방은 鶴膝風(관절류머티스로서 무릎의 관절이 붓고, 하지는 학의 다리와 같이 가늘어진 것)의 주방이다. 그러나 초기에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중략 -
이 처방은 열이 사라지고 종창, 동통만 남아 있고, 근육이 여위어져 있어서 가늘고, 보행이 곤란하며 오랫동안 낫지 않는 자에게 좋다. 즉 기혈이 모두 허한 것을 보하는 수단을 겸한 것이다. 이밖에 일체의 다리나 무릎의 통증, 혹은 拘攣 등이 있고, 밤에는 더욱 무겁고 아프며, 날이 갈수록 여위고 가늘어지며, 한냉하면 통증이 더욱 심하고, 전체로서 용태가 기혈이 모두 허한 자를 목표로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고 하였다. 이같은 상황을 한방에서는 風寒濕痺라고 한다. 즉 風寒과 濕이 침범하여 통증과 마비감, 운동장애 등이 생긴다는 말이다. 중년기 이후에는 사지의 근육이나 관절 및 뼈에 노화현상이 일어나는데, 여기에 風 . 寒 . 濕등의 외인이 작용하면 근육의 동통이나 경련이 생기고, 뻣뻣하게 굳어져서 운동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동작이 둔하고, 관절이 변형되고, 부종 . 수종이 생겨서 굴신을 할 때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한냉이나 습기 . 풍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하여 발병하는데, 현대의학에서는 신경통, 근육통, 경완증후군 등의 병명이 붙여져 있다. 방중의 人蔘 . 白朮 . 炙甘草 . 黃耆는 소화흡수와 전신의 기능을 높이며 白朮과 黃耆는 부종을 감소시킨다. 白芍 . 炙甘草는 근육경련을 억제한다.
黃耆는 피부의 혈행을 촉진하며川芎 . 牛膝 . 當歸는 혈관을 확장, 혈행을 개선한다. 杜沖 . 牛膝은 요통이나 하지의 동통을 완화한다. 附子는 전신의 대사를 높여 진통과 순환을 촉진한다. 生姜은 소화흡수를 도우며 발한작용을 가진다. 만일 본방을 써서 식욕이 떨어지고 설사하는 경향을 보이면 桂枝芍藥知母湯을 써보는 것이 좋다.

- 기혈(氣血)이 허약하고 간신(肝腎)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풍한습사(風 寒濕邪)가 근골(筋骨) 혈맥(血脈)에 뭉쳐서 발병한 상태에 쓰이는 처방.
① 거사(祛邪) - 방풍 : 풍습사(風濕 邪)를 제거 강활, 독활 : 방풍을 도움.
② 부정(扶正)
천궁, 당귀, 백 작약, 숙지황 : 보혈(補血), 행혈 (行血) 인삼, 백출, 자감 초 : 보기(補氣) 두충, 우슬 : 보간신(補肝腎), 조하초지능(助下焦 之能) 포부자 : 온경산한(溫經散寒), 지통(止痛)
臨 床 육계를 빼고 당귀와 생 강을 가하여 쓰기도 한다 (景岳全書).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