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청상방풍탕 淸上防風湯
出 典 萬病回春
分 類 淸熱劑 -淸熱解毒
造 成 방풍 3g, 형개, 치자 , 황련, 박하 각 1.5g, 황금, 천궁 각 2.1g, 백지, 길경 연교 각 2.4g, 지각, 감초 각 0.6g
用 法 물을 가하여 달이고 식 후에 복용한다. 죽력을 1잔 가하면 효력이 좋다.
效 能 淸上焦火, 淸熱解毒, 祛風止痛
適 應 症 풍열(風熱)에 의한 상초(上焦)의 피진(皮疹) : 신체의 上部(특히 얼굴)의 발적(發赤)
열감 소양(瘙痒) 동통 화농경향이 있는 피진
◎ 눈이 충 혈된다
◎ 안면홍조가 있다
◎ 갈증이 난다 등의 증상을 수반할 경우.(왕여드름)
解 說 본방은 淸熱劑로 분류되며 상초의 風熱에 대한 처방으로 해표약과 청열약을 배합한 表裏雙解의 방제라고 할 수 있다.
본방은 특히 신체상부의 화농성염증(風熱皮疹)에 쓴다. 원전을 보면 [上焦火를 청하고 頭面瘡癤 風熱生毒者]를 治한다고 했다. 해표약으로는 신온해표약이 약간 많고, 신량해표약은보조적으로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한. 표열의 이행형에 적합하다고 본다.
다만 신온해표약에 청열약이 배합되어 있어 오한. 두통의 表寒과 咽痛 .흉통. 구갈. 신체의 열감 등 裏熱증상을 나타내는 表寒裏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신량해표약을 신온해표약으로 보조하고, 다시 청열약이 배합되어, 표열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본방은 상초의 염증 특히 화농성 염증에 자주 쓰인다.
본방은 祛風의 防風 . 荊芥 . 薄荷 . 白芷 . 川芎, 淸熱解毒의 連翹 . 梔子 . 黃連 . 黃芩. 生甘草, 利咽排膿의 吉更 및 理氣의 只角으로 구성된다. 적응하는 병태는 어떤 원인에 의한 頭面部나 몸상부의 皮疹(充血되고 붉다) .
여드름 . 뾰루지 등으로 가려움. 동통 . 遊走性 또는 확대경향을 가지며(風證), 발적 . 종창 . 열감 . 화농성의 염증(열증)을 수반하는 것이다. 防風 . 荊芥 . 薄荷 . 白芷 . 連翹는 어느 것이나 체표의 혈관을 확장하여 발산. 발한을 강화하고, 신감온의 防風은 발표. 거풍습. 지통. 해독작용이 있다.
신온의 荊芥도 발표 . 거풍해열작용이 있어 그 효능을 거의 같다. 따라서 방풍 . 荊芥는 풍습사에 의한 발열두통을 발표하고 습진 . 중이염 등을 발표해독한다. 신량의 薄荷는 풍열사를 발산하고 소풍한다. 피부점막의 자극과 혈관확장작용을 防風 . 荊芥를 도와 皮疹(風濕熱邪)의 발산 . 소퇴를 앞당기고 止痒의 효과를 나타낸다. 신온의 白芷는 풍습에 의한 痺痛을 발표한다. 또 강한 진통작용을 가지며 특히 前腋部의 동통에 효과적이며 항균 . 배농에도 작용한다. 하지만 혈허성 두통에는 쓸 수 없다. 신온의 川芎도 혈기를 순행시켜 진통한다. 防風과 합해서 혈액순환부전에 의한 두통 . 요통 . 사지통 . 痺痛에 효과를 내고 혈행을 촉진하여 他藥의 효과를 강화(특히 상부에 작용하도록 한다)한다. 川芎은 혈약이나 白芷 . 香附子 . 木香 등과 병용하여 氣藥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기혈을 순행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타약의 효과를 전신에 송부하는데 유효하다.
苦凉의 連翹는 청열해독 . 散結消腫한다. 連翹 . 梔子 . 黃芩은 강한 소염작용이 있어서 염증 . 충혈 . 화농을 가라앉힌다. 고한의 黃連은 심의 火邪를 풀고, 梔子는 삼초의열 뿐만 아니라 표열 . 裏熱 . 氣分熱 . 血分熱을 모두 청열한다. 黃芩은 肺(상초)熱을 청열한다. 生甘草는 소염 . 해독에 작용한다. 吉更은 배농 . 거담 . 진해작용을 가지며 또한 川芎 . 白芷와 함께 諸藥을 상부에 작용시킨다. 苦寒의 只角은 기의 결실을 풀고 연동을 촉진하여 흉복창만이나 흉비 . 변비 . 食積 등을 풀고 또제약의 흡수를 강화한
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본방은 특히 안면에 생기는 열감 . 발적 . 가려움증 및 통증을 발산. 해독. 화농경향억제하는 것이다.

신체의 상부 특히, 안면부에 생기는 염증, 그 중에서도 화농성인 염증에 쓴다.
◎ 황련, 황금, 치 자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과 같은 의미로 습열(濕熱)을 제 거함.
◎ 방풍, 연교, 형개 : 열독(熱毒)을 발산
◎ 길경, 지각 : 소염배농(消炎排膿)
◎ 천궁, 백지, 박하 : 표에 있는 독을 발산하게 하고, 모든 약을 상부에서 작용 하게 함.
臨 床 ◎ 발적(發赤), 열감(熱感)에는 석고, 지모, 시호를 가하고,
◎ 화농(化膿)이 심해지면 금은화, 포공영, 판남근, 의이인 등을 가하며
◎ 변비(便秘)가 있으면 대황, 망초 등을 가한다.
◎ 변통이 잘 안 될 때는 반드시 大黃을 0.5 ∼ 2g정도 가한다.
◎ 변비가 있을 때 본방을 그대로 복용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발진이 더 심해지는 수가 있다.
◎ 안구 결막의 충혈이 심할 때는 甘菊을 가한다. 方中의 竹瀝은 거의 쓰지 않는다.
參 考 끝이 붉은 여드름에 좋고, 끝이 검으면 桂笭을 활용한다.
허한증, 위장허약자는 주의하여 써야 한다.